정약용과 다산초당
차 이야기라면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년)을 빼놓을 수 없다. 다산 선생이 차를 접하고 「다산(茶山)」이라는 호를 얻게 된 것은 전남 강진 땅에서 보 낸 18년 간의 귀양살이 때다. 그리고 초당에서 초의선사, 추사 김정희와 교우하며 『목민심서(牧民心書)』 『경세유표(經世遺表)』 『흠흠신서(欽欽新書)』 등 5백 여권에 달하는 저서를 집필했다. 군 초부면 마재(馬峴), 지금의 남양주군 조안면 능내리에서 아버지 나주정씨(羅州 丁氏) 재원(載遠), 어머니 해남윤씨(海南尹氏 : 공재 윤두서의 손녀)의 네째아들로 태어났다. 되었지만 바로 마재에 있을 때의 거실로서 다산학(茶山學)의 보금자리였음은 말할 것도 없다. 다산의 생가 일대에는 다산이 생전에 터를 잡았다는 자신의 묘소를 비 롯해, 만년에 독서와 저술 등의 공간으로 사용했던 사랑채가 복원되어 있다. 현재 마재는 세월의 흐름으로 다산의 기록에 나타난 것과는 그 모습이 많이 달라졌다. 훌륭한 정치가로서 정조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그러나 다산은 반대파의 모함으 로 경상도 기장에서 귀양살이중 40세 되던 해인 1801년 10월 신유사옥의 단초가 된 황사영(黃嗣永) 사건에 연루되었다며 한양으로 압송되어 갖은 문초를 받고 다시 전라도 강진현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었다. 이어 우두봉자락의 고성사, 탐진강변 석교마을, 만덕산(萬德山) 기슭 보은산 방(寶恩山房) 등을 전전하며 가련한 귀양살이를 8년이나 한 끝에 다산초당으로 들 어가게 되었다.
나무가 많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귤동마을 뒤 만덕산에 초당을 마련하고 학문에 전 념토록 배려한 것이다. 다산초당은 원래 귤원처사 윤단(尹 )이 초가로 지은 산정 으로 해남윤씨의 후손을 가르치던 서당이었다. 이곳이 바로 다산의 18년 간 유배생 활중 11여년을 지낸 다산초당(茶山草堂)이다. 만덕산은 차나무가 많다고 하여 다 산(茶山)으로 불리는 산이다. 던 1818년 8월까지 11년 간 이곳에서 학문과 강학(講學)에 전념하였다. 마을 사람 들은 다산에 사는 정(丁)씨라 하여 정다산(丁茶山)이라 불렀고 정약용이 이때부터 아예 다산(茶山)을 자신의 아호(雅號)로 쓰기 시작했다. 고 정다산유적보존회가 복원하면서 지붕을 기와로 덮었다. 따라서 다산초당이 아 니라 다산와당(茶山瓦堂)이 되어버린 것이다. 다산초당 현판은 추사 김정희 선생 의 친필을 집자(集字)하여 모각(模刻)한 것이다. 대흥사에서도 멀지 않다. 입구의 「다산 유물전시관」에서 산중턱의 초당까지는 불과 800m 거리다. 귤동이라는 작은 마을을 벗어나서 산길로 접어들면 수백 년은 됨직한 은행나무가 하늘을 찌를 듯 서 있다. 울창하게 들어찬 대밭과 하늘을 가리운 아름드리 소나무들, 시원한 공기가 온몸을 파고든다. 이 길을 따라 가파른 오솔길을 오르면 다산초당이 나타난다. 庵)은 다산 선생이 유배생활 중 초막(草幕)을 짓고 거처하였던 곳이며 목민심서, 흠흠심서, 경제유표 등 5백여권의 책을 저술하여 우리나라의 실학을 집대성한 곳 이다. 일명 송풍암(松風庵)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동암 근처에 소나무들이 무성하 여 솔바람이 불어오는 암자라 하여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동암 또한 허물어져 없 어진 것을 1976년에 강진군에서 복원한 건물이다. 다산동암(茶山東庵)이란 현판 은 다산 정약용 선생의 친필이며 보정산방(寶丁山房)이란 현판은 추사선생의 글씨 를 모각(模刻)한 것이다.
종진(尹鐘軫) 등 18명의 제자들이 거처하던 곳으로 다성각(茶星閣)이라고도 하며 허물어져 없어진 것을 1975년 기와로 복원했다. 景)」으로 불리는 볼거리가 있다. 뜰 앞의 너럭바위를 부뚜막으로 삼아 청동의 화 로에 약천의 물을 붓고 솔방울로 불을 지펴 차를 끓여 마셨던 반석(盤石)인 다조 (茶槽 차부뚜막)가 있다. 그리고 해배(解配)를 앞두고 발자취를 남기는 뜻에서 정 약용이 초당 뒤 자연석에 손수 단정한 해서체로 새겨놓은 「丁石」바위, 다산선생 이 직접 파 만든 샘으로 가뭄에도 마르지 않고 맑은 물이 솟아나는 「약천(藥泉」, 다산선생이 연못을 만들고 탐진강가에서 돌을 주어다 산처럼 봉(峰)을 쌓고 주변 에는 백일홍과 대나무를 심었다는 작은 연못 「연지석가산(蓮池石假山)」이 있다. 인 바다가 한눈에 들어온다. 다산은 외롭거나 괴로울 때는 여기에 나와 서쪽 흑산 도에서 유배중인 형 약전을 그리워하였다. 800m 정도만 가면 만덕산(萬德山) 백련사(白蓮寺)다. 언덕에서 보면 최근 조성한 차밭 뒤로 빨간 동백이 막 피어나는 동백나무숲 산자락 한 쪽에 백련사가 자리잡고 있다. 온산을 뒤덮은 백련사 동백 숲은 알아주는 동백명소다. 절 진입로 역시 온통 동백나무로 숲터널을 이루고 있다.
한편 다산은 1805년 강진에 유배된 지 네해째 되는 을축년 가을 혜장선사(惠藏禪 師)를 만난다. 갇힌 생활에서 조금 자유로워진 다산은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마을 노인 한 분을 앞세우고 삼십리쯤 떨어진 도암면에 있는 만덕산 백련사를 찾아간다. 그곳 주지인 젊은 스님이 동문 주막에 학식 높은 선비가 있다는 소식을 듣고 한번 보고 싶다는 기별을 보내왔기 때문이다. 화를 시작한다. 두 사람의 화제는 불교에서 주역으로 옮겨지며 날이 저물도록 계속 된다. 밤이 늦어 못내 아쉬워하며 헤어질 때 다산은 말한다. 「차맛이 너무 좋습니 다. 다시 스님을 찾아오면 그때도 차를 주시겠습니까」 다」 밤길을 걸어 처소로 돌아온 다산은 혜장을 잊을 수가 없었다. 당시 혜장의 나 이는 34세로 다산보다 꼭 10년이 아래였지만 유배생활에서 벗 없이 오랜 세월을 지 내왔던 그에게 말벗이 될 수 있는 혜장의 등장은 반가움을 넘어 충격이었다. 뜨거 운 가슴을 억누르지 못하고 잠을 뒤척이고 있을 때 자정이 넘어 인기척이 났다. 벌 떡 일어나 문을 열고 보니 뜻밖에도 손님은 혜장스님이었다. 둘은 서로 껴안고 눈 물까지 흘렸다. 서 이것이 조선 역사에 차가 재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 해 겨울 다산은 혜장의 도움으로 동문밖 주막을 떠나 강진읍 뒤 고성사(高聲寺)로 옮기고 그 거처를 보은 산방(寶恩山房)이라 이름지었다. 이때 다산은 이미 차의 세계에서 풍류를 즐겼던 것이다.
적비 옆 허물어진 행호토성 너머에 아름드리 동백나무들이 숲을 이루고 있다. 동백 나무 숲을 나와 산언덕으로 난 길을 따라가면 대숲으로 에워싸인 길이 다산초당으 로 이어지는 길이다. 이 길이 혜장선사와 다산 정약용이 서로 왕래하며 교유하던 길이라고 한다. 다산의 강진 유배생활이 마무리되던 해인 1818년, 그의 제자들이 다신계(茶信契) 를 조직한다. 다신계 절목에는 모두 18명의 제자들의 이름이 적혀 있는데 그 뒷부 분에는 다산(茶山)이 직접 기술한 대목이 있다. 다산(茶山)은 약조에 이르기를 「매년 청명한식(淸明寒食)일에 모든 계원이 다산초당에 모여 계사(契事)를 치르는 데 운을 내서 시를 짓고 연명으로 작서하여 유산(酉山:丁若鏞의 아들)에게 보내라. 또 곡우 때 딴 어린 차는 볶아서 엽차 한 근을 만들고 입하 때 딴 늦은 차로서 병차 (餠茶) 두 근을 만들어 시와 서찰을 함께 동봉하여라」했고 「가을 국화가 피는 시 절에도 초당에 모여 시(詩)를 지어 보내라」고 하였으며 「봄에 차를 따는 노역에 빠지는 계원은 돈 5전을 내서 마을 아이에게 차를 따도록 하라」고 했다. 다산(茶山)은 강진에서 18년 동안이나 유배되었다가 간신히 고향으로 돌아갔다. 18명의 제자들은 스승이 남긴 자상한 훈도를 잊지 않았다. 고향에서도 다산(茶山) 은 저술에만 전념하다가 1836년 2월 22일, 75세에 세상을 떠났는데 제자들의 정성 은 한해도 거름이 없었다. ■
|
'고전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현대시 목록-해설 (0) | 2010.04.19 |
---|---|
[스크랩] 고전시가 목록-해설 (0) | 2010.04.19 |
[스크랩] 초의선사와 일지암 (0) | 2009.08.21 |
[스크랩] 다신전(해설) (0) | 2009.08.21 |
[스크랩] 다신전 (0) | 2009.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