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자주 틀리는 외래어 외래어는 외국어에서 온 것이기 때문에 한글로 쓸 때 여러 가지로 나타나기 쉽습니다. 그렇다고 아무렇게나 적는 것은 아닙니다. 규칙이 있습니다. 먼저 외래어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습니다. 고유어에는 된소리가 많이 쓰입니다. ‘딸, 땅콩, 깨, 까맣다, 빨리, 뺨...’의 보기가 그렇습니다. 외래어에.. 찾아보기 2010.03.17
[스크랩] 한국화 용어 이해 한국화 용어 이해 갈필(渴筆)붓에 먹물을 글히 아껴서 그리는 법으로 남화 계통에서 많이 사용한다.건필(乾筆)이라고도 한다. 감필묘(減筆描)붓을 더 이상 줄일 수 없을 만큼 적게 사용한 최소한의 선(線)으로써 그리는 기법이며, 자유분방하고도 재빠른 속도로 다루어진다.주로 선승화가(禪僧畵家)들.. 찾아보기 2010.01.14
[스크랩] 백석 시에 자주 사용되는 어휘와 뜻풀이 백석 시에 자주 사용되는 어휘와 뜻풀이 가 가까사끼(枾崎:시기) : 일본의 어느 포구의 이름. 가느숙히 : 가느숙이. 가느스름하게. 가드러들다 : 가두라들다. 오그라들다. 점점 오그라져서 작아지다. 가드러치다 : 오그려붙이다. 가무락조개 : 가무래기. 모시조개. 대합조개과에 딸린 바닷물조개. 가무래.. 찾아보기 2010.01.11
[스크랩] 티벳사자의 서 7편(종결편) [앎] 이 앎은 존재 아니면 무(無)라는 식의 8가지 극단적인 견해에 속박되지 않는다.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기 때문에 중심이라고 부른다. 이 앎은 티 한 점 없이 맑게 깨어 있는 지성이다. 이 앎은 '비어-있음'과 '깨어-있음'의 본질이기 때문에 "희열로 충만한 주님들의 본질"이라고 부른다. 이를 알.. 찾아보기 2009.12.15
틀리기 쉬운 우리말 102가지 틀리기 쉬운 우리말 102가지 1. 아기가 책을 꺼꾸로 보고 있다.(꺼꾸로 → 거꾸로) 2. 소가 언덕빼기에서 놀고 있구나.(언덕빼기 → 언덕배기) 3. 딱다구리가 쉴새없이 나무를 쪼고 있다.(딱다구리 → 딱따구리) 4. 땀에서 짭잘한 맛이 났다.(짭잘한 → 짭짤한) 5. 오늘은 페품을 내는 날이다.(페품 → 폐품) 6.. 찾아보기 2009.12.14
[스크랩] 몇 가지 혼란스러운 어휘들 몇 가지 혼란스러운 것들 1) 조금 헷갈리는 어휘 다음은 우리가 한글을 사용하면서 조금 혼동을 하는 어휘들입니다. 어려운 게 아니니 까 설명을 들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1) 가르치다 / 가리키다 가르치다: 모르는 것을 알게 하다. 내가 가르친 내용을 다 이해했니? 가리키다: 사물이나 방.. 찾아보기 2009.12.14
[스크랩] 꽃나무 개화시기 꽃나무 개화시기 월 수종명 월 수종명 월 수종명 3월 동백나무(적색) 5월 꽃아까시나무(담홍색) 6월 인동덩굴(백색→황색) 풍년화(황색) 댕강나무(백색) 개쉬땅나무(백색) 생강나무(황색) 때죽나무(백색) 꽃개오동나무(황백색) 산수유(황색) 쭉동백나무(백색) 낙상홍(담홍색) 매실나무(담홍색) 덜꿩나무(.. 찾아보기 2009.12.05
[스크랩] 야생화 사진과 이름 야생화 사진과 이름 개망초 석류꽃 석잠풀 약모밀 마디풀 비짜루 자란 등심초 고삼 이끼꽃 수염가래꽃 물싸리 고광나무 네가래 왕비늘사초 금계국 털갈퀴덩굴 정금나무 꽈리꽃 털동자꽃 며느리밑씻개 삼색병꽃나무 쥐똥나무 끈끈이대나물 참골무꽃 원추리 섬말나리 큰뱀무 흰꿀풀 달맞이장구채 참.. 찾아보기 2009.12.05
[스크랩] 한자교본 잘 보관해서 이용해보세요 * 한자교본 잘 보관하세요 아래 제목을 클릭해 주세요. 천자문(千字文) 사자소학(四字小學) 명심보감(明心寶鑑) 추구(推句) 중학교 900字, 고등학교 900字 알기 쉬운 시사한자(時事漢字) 인명용(人名用) 한자표 잘못 읽기 쉬운 한자 한자성어·고사성어 기초 時事·常用한자 맞춤법 검사기(보관 사용) 찾아보기 2009.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