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어는 외국어에서 온 것이기 때문에 한글로 쓸 때 여러 가지로 나타나기 쉽습니다.
그렇다고 아무렇게나 적는 것은 아닙니다. 규칙이 있습니다.
먼저 외래어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습니다.
고유어에는 된소리가 많이 쓰입니다. ‘딸, 땅콩, 깨, 까맣다, 빨리, 뺨...’의 보기가 그렇습니다.
외래어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기 때문에 ‘모스크바, 푸슈킨’이라고 쓰지 ‘모스끄바, 뿌슈낀
(또는 뿌쉬낀)’이라고 쓰지 않습니다. 가스[까스], 버스[뻐스]도 똑같습니다.
(원칙은 그렇지만 태국 푸켓(Phuket)의 경우 2004년 12월 20일에 고시된 말레이인도네시아어, 타이어, 베트남어. 동남아시아 3개 언어의 외래어 표기법에 의해 '푸껫'으로 적어야 합니다.- 이것 때문에 말이 많습니다.)
슈퍼마켙인가? 슈퍼마켓인가?
외래어의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 7개만 씁니다.
따라서 ‘슈퍼마켓’이라고 써야합니다.
조사가 올 때에 발음이 [슈퍼마케시], [슈퍼마케슬]과 같으므로 ‘ㅌ' 받침을 쓰면 안됩니다.
외래어는 외국어의 발음을 그대로 옮기지 못합니다.
우리말은 한글 24 자모로 40개의 음소를 나타내는데 외국어에는 특별한 소리가 많습니다.
그렇다고 외국어에서 온 말인 외래어를 적기 위해 새로 특수한 글자를 만들어 낼 수는 없습니다.
외래어는 외국어의 소리를 정확히 적을 수 없더라도 새로운 글자를 만들어서 적지는 않습니다.
다음은 우리가 자주 틀리는 외래어들입니다.
프리지아 ☞ 프리지어(freesia)
루즈 ☞ 루주(rouge)
써클 ☞ 서클(circle)
카톨릭 ☞ 가톨릭(catholic)
짜장면 ☞ 자장면(zhajiangmian)
플래스틱 ☞ 플라스틱(plastic)
부라자 ☞ 브래지어(brassiere)
런닝 ☞ 러닝(running)
런닝셔츠 ☞ 러닝셔츠(running shirt)
로보트 ☞ 로봇(robot)
링겔 ☞ 링거(ringer)
엑스타시 ☞ 엑스터시(ecstasy)
아이러니컬하다 ☞ 아이로니컬하다(ironical)
오르가즘 ☞ 오르가슴(orgasme)
까페 ☞ 카페(cafe)
초코렛 ☞ 초콜릿(chocolate)
퍼머 ☞ 파마(permanent)
피알 ☞ 피아르(PR)
부르조아 ☞ 부르주아(bourgeois)
블럭 ☞ 블록(block)
쥬스 ☞ 주스(juice)
알콜 ☞ 알코올(alcohol)
돈까스 ☞ 돈가스(tonkasu) - 돼지고기(너비)튀김(밥)
리어커 ☞ 리어카(rear car) - 손수레
짚 ☞ 지프(jeep)
골덴 ☞ 코르덴(corded velveteen)
호스테스 ☞ 호스티스(hostess)
싸롱 ☞ 살롱(salon)
스티로폴 ☞ 스티로폼(styrofoam)
세멘트 ☞ 시멘트(cement)
벤취 ☞ 벤치(bench)
아이스케키 ☞ 아이스케이크(ice cake)
새디스트 ☞ 사디스트(sadist)
앰블런스 ☞ 앰뷸런스(ambulance)
자스민 ☞ 재스민(jasmine)
자켓 ☞ 재킷(jacket)
츄리닝 ☞ 추리닝(training) - 연습복, 운동복
텔레비젼 ☞ 텔레비전(television)
팜플렛 ☞ 팸플릿(pamphlet)
프로포즈 ☞ 프러포즈(propose)
카피트 ☞ 카펫(carpet)
기브스하다 ☞ 깁스하다(gips)
로타리 ☞ 로터리(rotary)
빽 ☞ 백(back)
'찾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 맞춤법에 따른 한글 바로쓰기 (0) | 2010.11.21 |
---|---|
[스크랩] 맞춤법/문법 검사기 (0) | 2010.08.09 |
[스크랩] 한국화 용어 이해 (0) | 2010.01.14 |
[스크랩] 백석 시에 자주 사용되는 어휘와 뜻풀이 (0) | 2010.01.11 |
[스크랩] 티벳사자의 서 7편(종결편) (0) | 2009.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