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경북 문경 출생
영남대학교 국문과 졸업
1998년 <매일신문> 신춘문예
2003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시 당선
시집 <자라> 2005년 창비
틀니
웃고 있다.
물 담긴 사기그릇 속에서
흠뻑 웃고 있다.
나는 한번도 본 적이 없다
저리 신나게 웃는 어머니를,
어금니 사이
푸른 이끼 한줄,
나 몰래 무슨 즐거움 씹어 잡수셨을까
나는 불안하다
턱이 없는 어머니가
아침이면 턱 안에서
굳게 갇힐 웃음이,
턱을 빠져나온 웃음이 밤마다
목욕탕을 뒤흔든다
저 웃음을 어머니 턱 안에서
완성시켜드리고 싶다
외곽의 힘
이 도시의 외곽에는 짐승들이 산다
동쪽에는 개들이
서쪽에는 오리와 타조들이
사료더미를 지고 오는
구레나룻 사내들보다 건강하게 자란다
신도시라 이름하는 이 도시에는
걸리적거린다 하여
전봇대들도 다 땅 속에 숨겨져 있다
공원과 분수가 넘쳐나는 거리
애완견을 모시고 나온
앵무새 같은 여자들이 산책을 한다
늘 중심에 있는 이곳 사람들은
외곽을 까맣게 잊고 산 지 오래,
보신은 늘 중심엔 없는 걸까
가끔씩 보신을 위해
까만 승용차를 타고 사람들이 외곽을 찾는다
쓰레기가 넘쳐나고 비명소리 들리는 외곽에서
서둘러 보신을 마치고 다시 중심으로 돌아간다
썩은 개울가에 몰래 털이 버려지고
커다란 도마가 서둘러 씻겨지는 외곽에서
짐승들은 쉬지 않고 새끼를 낳아 기른다
무법지와도 같은 그곳
아직 비포장인 도로를 한참 들어가면
음식 찌꺼기 냄새와 분뇨내가 코를 찌르는 곳
구레나룻 사내 손목에서
끝끝내 내젓던 모가지의 불거진 힘줄,
중심에서 밀려나고 밀려나도
끝내는 더 넓은 외곽으로 세를 넓히는
외곽의 힘은 바로 저런 것이 아니었을까
외곽은 언제나 중심을 먹여살린다
아랫도리
신생아들은 보통 아랫도리를 입히지 않는다
대신 기저귀를 채워 놓는다
내가 아이를 낳기 위해 수술을 했을 때도
아랫도리는 벗겨져 있었다
할머니가 병원에서 돌아가셨을 때도 그랬다
아기처럼 조그마해져선 기저귀 하나만 달랑 차고 계셨다
사랑할 때도 아랫도리는 벗어야한다
배설이 실제적이듯이
삶이 실전에 돌입할 때는 다 아랫도리를 벗어야 한다
때문에 위대한 동화작가도
아랫도리가 물고기인 인어를 생각해내었는지 모른다
거리에 아랫도리를 가린 사람들이 의기양양 활보하고 있다
그들이 아랫도리를 벗는 날은
한없이 곱상해지고 슬퍼지고 부끄러워지고 촉촉해진다
살아가는 진액이 다 그 속에 숨겨져 있다
신문 사회면에도
아랫도리가 벗겨져 있었다는 말이 심심찮게 등장하는 걸 보면
눈길을 확 끄는 그 말 속에는 분명
사람의 뿌리가 숨겨져 있다
수건 한 장
수건 한 장을 덮고 아이가 잔다
수건 한 장으로 덮을 수 있는 몸이 참으로 작다
수건 한 장 속에서 아이는 참 따뜻하게도 잔다
가위눌리는 꿈도 너끈히 막아주는 수건 한 장
그것은 평소 낯을 닦을 때보다 더 크고 폭신해 보인다
수건 한 장은 지금 완벽하다
어떤 바람도 무서움도 스며들지 못한다
굴곡진 아이 몸을 휘감아 안고 수건 한 장이 가고 있는 곳
요람처럼 흔들리며 아이가 가고 있는 곳
나는 끝내 가지 못하리라
내 몸도 수건 한 장 속에 감춰질 때가 있었던가
나는 더 이상 수건과 한 몸이 되지 못한 채
아침마다 수건 속으로 부끄런 낯이나 묻을 뿐,
아이가 수건 한 장을 비늘인양 걸치고 방 전체를 유영한다
수건 한 장 속에서 아이는 지금 안전하다
아무도 건드리지 못하는 수건 한 장
그것을 벗겨냈을 때 아이는 천둥소리를 지르며 깰 것이다
푸른 방
풋완두콩 껍질 속에
다섯 개의 완두콩 방이 푸르다
완두콩을 훑노라니
껍질과 콩이 초록의 탯줄들로 연결되어 있는 게 보인다
작은 놈에서 큰놈까지 한 놈이라도 놓칠세라
껍질은 탯줄을 뻗쳐 악착같이 붙잡고 있다
밭 너머가 저수지라서였을까
엄마는 나와 동생을 나무에 묶어두었었다
해질 때까지 밭에서 쥐며느리처럼 몸을 말고 계시던 엄마
나와 동생이 조금만 안 보여도 허겁지겁 쫓아오셨다
딴 데 가면 안된다 여기 있어야 한다
엄마가 퉁퉁 불은 젖을 동생에게 물리러 올 때까지
동생과 나는 전지전능한 줄의 반경 아래서 놀았다
엄마가 훌쳐놓은 그 줄을 타고 개미들이 내려오기도 하고
탱탱하게 당겨지면 줄은 짧게 비명을 지르기도 하였다
엄마 젖퉁이에 푸르딩딩하게 뻗친 힘줄을
동생이 빨아먹는 거라고
그래서 동생의 똥이 푸르다고 생각하던 그때
하늘 전체가 푸른 방이었다
나무도 너럭바위도 저수지도 모두 초록의 탯줄로 땅에 매달려
우리들처럼 무럭무럭 자라고 있었던 그때
세상은 막 물오른 완두콩 속처럼 안전하였다
푸르른 콩깍지 속에서 나를 빤히 올려다보는 완두콩들
방이 깨지고 탯줄이 끊어지는 순간,
몇 놈이 훌쩍 어디론가 내빼고 만다
억지로 떼어낸 젖꼭지 같은 탯줄에서
연녹색 젖이 묻어난다
출처, 내영혼의깊은곳
'시인의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이선영 시모음 (0) | 2006.10.19 |
---|---|
[스크랩] 서정춘 시모음 (0) | 2006.10.19 |
[스크랩] 시인의 詩 감상하기 (0) | 2006.10.16 |
[스크랩] 이근배 `지귀` 외 (0) | 2006.10.14 |
김수영시모음 (0) | 2006.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