族譜

譜學常識

시치 2017. 8. 2. 11:46


          譜學常識


(1) 시조(始祖)와 중시조(中始祖) : 시조(始祖)는 한 가문의

                                                 초대(初代:1世) 선조로서

                 즉, 첫번째의 조상이며,

                 시조 이전의 선계(先系)조상 중에서   

                 가장 높은 선조를 비조(鼻祖)라 하는데,


                 시조 이전의 선계가 없을 경우에도

                 시조를 정중하게,또는 애교있게 표현하기

                 위하여 이를 비조라고 말하는 수도 있다.        


                 그리고 시조 이후에 쇠퇴(衰退)하였던 가문을

                 다시 일으킨 조상, 즉 쇠퇴한 가문을

                 중흥(中興)시킨 조상을 중시조(中始祖), 또는         

                 중조(中祖)로 추존(追尊)하는 것인데,                       


                 이는 온 문중의 공론에 따라 설정하게 되며,

                 어느 1파의 단독 주장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2) 본관(本貫)과 관적(貫籍) : 본관이란 시조나 중시조의

                                             출신지(出身地), 또는 씨족의

                 세거지(世居地)를 근거로 설정하는 것이며, 


                 정자통(正字通:明나라 張自烈의 撰인

                 辭書類)에 의하면 본관은 향적(鄕籍)이라

                 하였으니, 이를테면 시조나 씨족의 고향을

                 일컫는 말이다.이를 관향(貫鄕),또는 본(本)

                 이라고도 하는데,같은 姓氏라 할지라도

                 동족(同族)여부를 가리는데 본관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관적(貫籍)이란 본적지(本籍地)라는

                 말이기 때문에 이는 본관의 적지(籍地)란 뜻

                 으로서, 본관 대신 관적(貫籍)이라 하기도 한다. 


   (3) 분적(分籍)과 분관(分貫) : 국가에 대한 공훈(功勳)으로

                                             봉군(封君)되었거나 후손중

                                             어느 1파가 다른 지방에

                 분거(分居)해서 오래 살게 되면 그 지방을

                 근거로 관적이 새로 창설되어 분적이 발생하게

                 되며 이를 분적, 또는 분관(分貫)이라 하며,

                 이때 새로 창설된 시조를 시관조(始貫祖), 혹은

                 득관조(得貫祖)라 한다.             


   (4) 종파(宗派)와 파속(派屬) : 중시조가 정해져 종파(宗派)가

                                             성립되는데, 동족 사이에

                 종파(宗派)나 파속(派屬)을 밝히는 것은

                 후손들 각자의 혈통적인 계열(系列)을

                 분명하게 밝히며, 촌수(寸數)를 명확히

                 하려는 것이기 때문에

                 설혹 족보에 관심이 적은 사람이라도

                 자신의 파속쯤은 알고 있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이는 가문을 중흥시킨 중시조를 중심으로

                 종파를 설정하는 것 이므로 그 중시조의

                 직함(職銜)또는 아호(雅號)에다 '공(公)'자를 붙여

                 아래와 같이 파속을 표시한다.                  


                 정승을 지낸 중시조의 종파         -- 相公派          

                 판서를 지낸 중시조의 종파         判書公派          

                 참판을 지낸 중시조의 종파         參判公派          

                 정랑을 지낸 중시조의 종파         正郞公派          

                 진사가 된  중시조의 종파          進士公派          

                 아호를 표시하는 중시조의 종파   아호公派          


   (5) 경파(京派)와 향파(鄕派) : 문중에 따라 종파를 초월하거나

                                             혹은 동일 종파간에도

                 경파(京派)와 향파(鄕派) 두 계통으로

                 크게 구분하는 경우가 있는데,

                 경파란 글자 그대로 서울에 살면서 대대로  

                 벼슬을 지낸 집안을 포괄적(包括的)으로

                 일컫는 말이며,  


                 향파(鄕派)란 시골에서 세거(世居)해 온 일족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는 모두 종파의 파속이외에

                 혈연적 신분을 밝히는 말로 쓰인다.       


   (6) 선계(先系)와 세계(世系) : 선계(先系)란 시조(始祖)이전의

                                             조상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며,

                 세계(世系)란 시조로부터 대대로 이어가는

                 계통(혈통)의 차례를 말하는 것이다.                        


   (7) 선대(先代)와 말손(末孫) : 선대란 말은 선조의 여러대를

                                             일컫는 말이이지만, 보첩상의

                 선대라 함은 시조이후 상계(上系)의

                 조상을 포괄적으로 일컫는 말인데, 이를                   

                 선계(先系)라 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그리고 선대라는 말에 반(反)해서 후대(後代),

                 즉 하계(下系)의 자손들을 말손(末孫)이라 하며,

                 이들의 대한 보첩 부분을 손록(孫錄)이라 한다.    


   (8) 세(世)와 대(代) : 시조로부터 아래로 후손을 가리킬 때는

                     세(世)를 붙여서 시조를 1세, 그 아들은

                     2세, 그 손자는 3세, 그 중손은 4세가 되며,

                     위의 선조는 대(代)를 붙여서 일컫는다.    


                                            그러므로 후손을 가리킬 때에는 누구의  

         ─────                    몇 세손, 선조를 말할때는        

    玄祖(현조)    五代祖           누구의 몇대조(代祖)라 한다.                 

         ──┬──                                 .

         ──┴──                     아버지와 아들 사이가        

   高祖(고조)    四代祖             세(世)로는 2세이지만 대(代)   

         ──┬──                     로는 1대(30年間)이므로   

         ──┴──                     선조로 부터 아래로 세(世)를       

   曾祖(증조)    三代祖             따질때에는 그 선조를 1세        

         ──┬──                     라하고 자기까지 넣어서         

         ──┴──                     몇세손(世孫)이라 하지만, 위로        

      祖(조)                              치올려 대(代)를 따질 때는                 

         ──┬──                     자기를 빼고 계산해서    

         ──┴──                     몇 대조(代祖)라 한다.  

        父                                  시조의 21세손 되는 사람의       

         ──┬──                     시조는 20대조가 되는 것이다.

         ──┴──            

       己            (一세 본인)                                                 

         ──┬──                         그러나 후손을 가리킬 때에는    

         ──┴──                         대(代)를 붙여서 몇대손 이라

       子            (二세)                  말하는 수가 있지만 선조를  

         ──┬──                         말할 때에 몇 세조(世祖)라고

         ──┴──                         일컫는 것은 시조로 부터          

      孫(손)        (三세)                 몇 세손이 되는 선조라는 뜻이다. 

         ──┬──                     .

         ──┴──                    

    曾孫(증손)    四世孫          

         ──┬──               .     

         ──┴──                    

   玄孫(현손 )   五世孫          

         ──┬──                   . 

         ──┴──                      

   來孫(래손)    六世孫    

         ──┬──         .

         ──┴──  

   昆孫(곤손)    七世孫            

         ──┬──     .                 

         ──┴──        

   仍孫(잉손) 또는 耳孫(이손)   八世孫          

         ──┬──     .            

         ──┴──    

   雲孫(운손)    九世孫  

          

         ───── 

 

*昆孫, 仍孫, 雲孫이 다같이 먼 자손이라는 뜻이다. 그이하는 몇세손이라

        세수로 칭하며 달리 쓰는 호칭은 없다.

 

*손자

         아들의 아들이며 낮추면 손자놈 손자세끼 孫兒(손아) 迷孫(미손) 이며,

높이면 阿孫(아손) 令孫(영손) 令仍(영잉) 賢仍(현잉) 이다.

손주라고 하면 손자의 낮은 통칭인데 손녀까지를 가리키게 되어 손자녀와

같이 쓰인다.

 

*손녀

         아들의 딸이며 여손 이라고도 하고 귀엽게 이를 경우 손녀딸 이라고도

한다. 높낮이 말은 손자에 준해서 쓸 수 있다. 미손녀, 아손녀, 영손녀라 할수 있고

영잉,현잉을 쓸때는 손자와 같이 써야 한다.

 

*현손(玄孫)

          증손자의 아들이다. 현손자라고도 하고 딸은 현손녀이다. 며느리는 현손부이고

사위는 현손서이다. 고손(高孫), 고손자 등으로도 쓰는데 직계 비속에게 높을"고"(高)를

쓰는게 외람 되다 하여 잘 쓰지 않고 "멀다"는 뜻의  "현" (玄)자를 쓴다. 


 


(9) 방조(傍祖)와 시조(始祖) : 방조(傍祖)란 6대조(代祖)

                                             이상의 형제를 일컫는 말이며,

                         족조(族祖)란 방계무복지조

                         (傍系無服之祖)의 호칭(呼稱)이다.                                       


   (10) 종손(宗孫)과 장손(長孫) : 종손(宗孫)이란 종파(宗派)의

                                               맏 손자를 일컫는 말이고,

                 장손(長孫)이란 종가(宗家)가 아닌

                 차자손(次子孫) 집의 맏 손자를 일컫는 말이며,

                 대종가(大宗家)의 맏 손자를    

                 대종손(大宗孫)이라 일컫는다.                           


   (11) 사손(嗣孫)과 사손(祀孫) : 사손(嗣孫)이란 한 집안의

                                               종사(宗嗣), 즉 계대(系代)를

                 잇는 자손을 일컫는 말이며,

                 사손(祀孫)이란 봉사손(奉祀孫)의 준 말로서,

                 조상의 제사를 받드는 자손을 일컫는 말이다.                   


   (12) 후사(後嗣)와 양자(養子) : 후사(後嗣)란 뒤를 있는다는

                                               후승(後承)의 뜻으로서,

                 계대(系代)를 잇는 자손을 뜻하는 말인데,

                 만약 계대를 이을 후사가 없을 경우에는

                 '무후(无后)', 양자(養子)로 출계(出系)하였을

                 때에는 '출후(出后),  


   서얼(庶孼)로서 입적(入嫡)되었을 경우에는 승적(承嫡),

   그리고 후사가 확실치 않아 알 수 없을 때에는

   '후부전(后不傳)'등의 사유를보첩(譜牒)의 명,휫자(名,諱字)

   밑에 작은 글자로 표시한다.           


   그런데, 후사가 없는 사람에게 양자(養子)로써 계대를

   승계하려면 요즈음은 관할 법원(法院)에 청원하게 되지만,                         

   에전 에는 예조(禮祖)에다 아무를 양자로 입양(入養)

   하겠다고 청원하여야 하는데, 자손은 하늘이 점지하는

   것이라 하여 예조에서 입안(立案)한 문서를

   동지사(冬至使)가 중국 천자(天子)에게 가져가면                

   천자는 이를 하늘에 고유(告由)한 후 이를 다시 동지사가

   가지고 귀국하면 예조에서는 이를 허가하는 식이었다.                      


   우리 나라 정조(正祖)때 왕명으로 김치인(金治仁)등이

   편찬한 대전통편(大典通編)에 의하면'妻妾俱無子女면

   取同姓支子로 爲后'라 했다.     

   이는 처첩간에 모두 자녀가 없는 경우에는 동성(同姓)즉

   혈족의 맏 아들이 아닌 차자(次子)로써 대를 잇게 한다

   는 말이니, 맏아들은 양자로 출계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우리 나라 양자의 실태를 살펴보면 양가(養家)에 들어가

   실제로 양부모를 봉양하는 양자는 대개 장자(長子)가

   아닌 지자(支子)가 출계하였으며,생가(生家)에 살면서

   제사만을 받들며 대를 잇는 형식적인 양자는

   후사(後嗣)를 위하여 장자도 출계한 예가 적지 않은데,

   이는 모두 정식으로 관(官)의 허가를 받지 않은 것이다.   


   그리고 양자를 예조(禮祖)에 청원할 때에 양부나 양모 될

   사람이 생존해 있으면 그들이 청원하게 되지만 그들이

   모두 생존해 있지 않을 때에는 그 문중의 문장(門長)이  

   이를 청원하는데, 양자에는 다음의 4가지 종류가 있다.            


     ① 收 養 子    3歲 이전에 入養하는 養子                 

     ② 待 養 子    3歲 이후에 入養하는 養子                 

     ③ 死後養子   養父母가 俱歿한 後에 入后하는 養子       

     ④ 白骨養子   養子自身이 죽은 後에 入后하는 養子       

       (神主養子)                                            


   (13) 서출(庶出)과 서얼(庶孼) : 서출이란 서얼, 즉 첩(妾)의  

                                               자손을 일컫는 말 인데,

                   조선시대에는 양반출신이라라도 서얼에

                   있어서는 일정한 사회적 제한이 있어서           

                   문과(文科)의 응시가 금지 되었으며

                   무과(武科)나 잡과(雜科), 즉 역과(譯科),

                   의과(醫科), 율과(律科)등에 

                   한 하여 응시, 등용 되었었다.                          


                   그러나 현직(顯職) 문.무관의 양첩(良妾:

                   良民出身의 妾)의 자손은 정3품,

                   천첩(賤妾); 기생이나 노비(奴婢) 출신

                   첩의 자손은 정5품까지만 등용되었으며 


                   정종, 순조, 철종때에 와서 차츰 완화

                   되다가 고종31년(1894년) 갑오경장

                   (甲午更張)으로 서얼 차별이 철폐되었다.             


   (14) 함자(銜子)와 휘자(諱子) : 현재는 호적명(戶籍名) 하나로

                   모든 것에 통용(通用)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옛풍습에 의한 인명(人名)을

                   살펴보면 어렸을 때에 쓰는 아명(兒名)과     

                   관례(冠禮)를 치르면 관명(冠名), 즉 자(字),

                   그리고 보첩(譜牒)에 올리는 항명(行名),

                   그밖에 따로 행세하는 별호(別號)등이 있다.       


                   그런데, 관명(冠名:字)은 관례(冠澧:成年式)

                   때에 미리 빈(賓:主禮者)을 택하여 예식의

                   주재를 청탁해 두면 그는 의식을 주재하면서    

                   자(字)를 지어주는 것이다. 그 예를 들면  


                   아명 : 孝孫   관명(자) : 丞允  항명 : 鴻根 

                   별호 : 菊軒, 樂天


                   그리고 웃어른의 이름짜를 말할 때에

                   생존자(生存者)에 대해서는 함자(銜字),

                   비생존자(非生存者)에 대해서는 휫자(諱字)

                   라고 하거니와, 이름자를 입으로 옮길 때에도

                   어른의 이름자에 대해서는 함자, 휫자를

                   막론하고 글자 사이마다 '자'를 넣어 읽거나,      

                   글자를 풀어 읽어서 말하기도 한다.                  


                   예-- 舜龍, 舜字 龍字, 순임금舜字 용龍字등                


   (15) 존칭접미사(尊稱接尾辭) : 우리가 존장(尊長)은 물론,

                                             평교간(平交間)일지라도

                   상대방을 존대(尊待)할 경우에는

                   아무선생, 아무씨, 혹은 아무 옹(翁)따위의

                   존칭사(尊稱辭)를 쓰는데, 이는 그 경우에

                   따라 쓰이는 곳이 아래와 같이 다르다.


               ① 선생(先生) : 성(姓), 성명(姓名), 또는

                   별호(別號)밑에 붙여서 극존칭사

                   (極尊稱辭)로 쓰인다.                       


               ② 공(公) : 남자의 성(姓)이나 별호(別號),

                   시호(諡號), 또는 직함(職銜) 밑에 붙여

                   선생의 버금가는 존칭사로 쓰인다.             


               ③ 옹(翁) : 남자노인(老人)의 성(姓), 또는

                   성명(姓名)밑에 붙여 높임말로 쓰인다.


               ④ 장(丈) : 손윗 남자의 별호(別號)밑에

                   붙여서 어른이란 뜻을 나타내는 말인데,

                   존장(尊丈), 노인장(老人丈), 형장(兄丈),

                   사장(査丈) 등으로도 쓰인다.                                       


               ⑤ 씨(氏) : 성(姓), 성명(姓名), 또는 이름

                   아래 붙이며, 별호(別號)나 예명(藝名)

                   에는 쓰지 않는다.


               ⑥ 님 : 직함(職銜), 또는 친족(親族)의 호칭

                   밑에 붙여 높임말로 쓰인다.


                   예 : 長官님, 아버님, 兄님                                    


               ⑦ 군(君) : 손 아래 남자의 성(姓), 또는

                   성명(姓名)밑에 붙인다.      


               ⑧ 여사(女史) : 부인(婦人)의 성(姓), 또는

                   성명(姓名)밑에 붙인다.    


               ⑨ 양(孃) : 미혼(未婚)여자의 성(姓), 또는

                   성명(姓名)밑에 붙인다.    


     (16) 항렬(行列) : 항렬은 혈족(血族)사이에 세계(世系)의

                             위치를 분간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문중율법(門中律法)의 하나이기도 하다.        


           항렬자(돌림字)는 가문마다 각기 달라서

           갑을병정(甲乙丙丁)의 천간(天干:十干)순에

           의하여 설정한 가문도 있고,                           

           자축인묘(子丑寅卯)의 지지(地支:十二支)순으로

           설정한 가문도 있으며 일이삼사의 숫자순으로

           설정한 가문도 있으나, 금수목화토(金水木火土)

           오행상생법(五行相生法)에 따라 시행하는 예가

           가장 많다.        


           그런데 항렬자를 몰라 이에 따르지 못한 사람은

           말할바 못되거니와, 항렬자를 잘 알면서도 이를

           외면하고 제각기 마음대로 이름을 짓는 사람이

           적지 않은데, 전통 법식을 따르지 않는 것이다.  


           만약 항렬자를 떠나서 이름을 짓게 되면, 첫째로

           세대를 분간할 수 없으므로 혈족사이에

           회의(懷疑)를 느끼게 되며, 둘째로 문중에서

           그를 대하는 사람들이 항상 경계심을 갖게 하며,              

           셋째로 법도(法度)가 없는 가문으로 오해 받기

           쉽고 자신의 발전과 영달(榮達)을 위하여서도

           이롭지 못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보통은

           항렬자를 벗어난 작명은 삼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