族譜

[스크랩] 墓祭 笏記(묘제 홀기)

시치 2017. 8. 5. 01:30

墓祭 笏記(묘제 홀기)

묘제 절차와 진행 시나리오는 집사의 임무를 어떻게 부여하는가에 따라 다를 수도 있고. 또 자세하게 할 것인지 간략히 할 것인지에 따라 다를 수도 있다. 대부분 문중에서는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표준 홀기가 있어 그에 따라 진행한다. 여기에 3편의 홀기를 소개한다.

1. 안동권씨 좌윤공파 불국사문중 묘제 홀기

獻官以下 諸 參祭者 皆 序立 (헌관이하제집사 계 서립) : 헌관이하 모든 참제자는 정열해서 서시오

執禮 盥手帨手 先就 再拜 取位(집례 관수세수 선취 재배 취위)

집례는 손을 씻고 먼저 나아가 재배하고제 자라에 서시오

就(이룰 치, 이루다, 나아가다)

大祝及 諸 執事者 皆 參神 再拜 (대축급 제 집사자 개 참신 재배)

대축과 제 집사자는 참신재배 하시오

詣 盥洗位 盥手帨手(예 관세위 관수세수)물 대야 있는 곳에 가서 손을 씻고 수건에 닦으시오

各 就位 (각 취위) : 각자 자기 위치에 서시오

◎ 行 降神禮(행 강신례) 강신례를 거행하겠습니다

○ 初獻官 神位前 跪(초헌관 신위전 궤) : 초헌관은 신위 앞에 꿇어 앉으십시오.

○ 三 上香(삼 상향) : 향을 세 번 피우십시오

○ 獻官 俯伏 興 再拜(헌관부복흥 재배) : 헌관은 두 번 절하고 일어서십시오

○ 獻官 神位前 跪(헌관 신위전 궤) : 헌관은 신위 앞에 꿇어 앉으십시오

○ 奉酌奉盞盤斟酒授獻官(봉작봉잔반짐주수헌관) : 봉작은 잔을 받들어 술을부어 헌관에게 드리십시오.

☞ 盞盤 : 제사지낼 때 사용하는 술잔과 받침

○ 獻官跪受三灌于地(헌관궤수삼관우지) : 헌관은 술을 받아 땅위에 세 번 부으시오

○ 以盞盤還授執事奠于故處(이잔반환수집사전우고처)

헌관은 잔을 집사에게 주고 집사는 신위전에 올리시오

○ 獻官俯伏 興 再拜 復位(헌관 부복 흥 재배복위) : 헌관은 일어나 재배하고 물러나십시오

行 參神禮(행 참신례) 참신례를 하겠습니다

○ 獻官 以下 諸子孫 皆 再拜(헌관이하제자손 개 재배) : 헌관이하 모든 자손은 재배하십시오

○ 拜, 興, 拜, 興, (배, 흥, 배, 흥) : 절하고, 일어나고, 절하고,일어나십시오

◎ 行 初獻禮(행초헌례) : 초헌례를 하겠습니다.

○ 初獻官 神位前 跪(초헌관 신위전 궤) : 초헌관은 신위앞에 꿇어 앉으시오.

○ 執事者 以酌授 獻官 執酌獻酌(집사자 이작수 헌관 집작헌작)

집사자는 술을 떠서 헌관에게 드리고 헌관은 술을 받아서 헌작한 후에 집사에게 주십시오

☞ 獻酌 : 제사 때, 술잔을 올림

○ 以授 執事 奠于 神位前(이수집사 전우신위전) : 집사자는 술을 받아서 신위에 올리십시오.

○ 大祝 進 神位前 獻官 之左 東向 跪(대축 진 신위전 헌관 지좌 동향 궤)

축은 신위앞에 나아가 헌관의 왼편에 동향하여 무릎을 꿇으십시오.

○ 獻官 以下 諸 參祭者 跪(헌관이하 제참제자 궤) : 헌관이하 제참제자는 모두 무릎을 꿇으십시오.

○ 讀 祝文(독축문) : 축문을 읽으십시오.

○ 俯伏 興 平身(부복 흥 평신) : 몸을 구부렸다가 일어서서 몸을 바로 하십시오.

○ 獻官小退 再拜(헌관 소퇴 재배) 헌관은 조금 물러서서 절을 두번하십시오.

○ 引降復位(인강복위) : 자리로 돌아가십시오

☞ 引(당실 인, 引導하다, 물러나다)

◎ 行 亞獻禮(행 아헌례) 아헌례를 하겠습니다.

○ 謁者 引 亞獻官 詣 盥洗位(알자인 아헌관 예 관세위)

알자는 아헌관을 모셔 대야물이 있는곳으로 가십시오.

○ 盥手 洗手(관수 세수) : 대야물에 손을 씻고 수건에 닦으십시오.

○ 因 詣 神位前 跪(인 예 신위전 궤) : 신위앞에 나아가 무릎을 꿇으십시오

☞ 因(인할 인), 인하다( ....어떤 사실로 말미암다), 연달다, 이어받다.

○ 執事者 以酌授 獻官 執酌 獻酌(집사자 이작수 헌관 집작 헌작)

집사자는 술잔을 헌관에게 드리고 헌관은 술잔을 받아 신위를 향해 읍을 하며 올리십시오.

○ 以授執事 奠于 神位前(이수집사 전우 신위전) : 집사자는 잔을 받아서 신위앞에 올리십시오.

○ 小退 再拜(소퇴 재배) : 뒤로 조금 물러나서 재배하십시오.

○ 俯伏興平身(부복 흥 평신) : 몸을 구부려서 일어나고 몸을 바로서십시오.

○ 引降 復位(인강 복위) : 본자리로 돌아가십시오.

行 終獻禮(행 종헌례) : 종헌례를 하겠습다.

○ 謁者引 終獻官 詣 盥洗位(알자인 종헌관 예 관세위)

알자는 종헌관을 모시고 대야물이 있는곳으로 가십시오.

○ 盥手 洗手(관수 세수) : 대야물에 손을 씻고 수건에 닦으십시오

○ 執事者 以酌授 獻官 獻官 執酌(집사자 이작수 헌관 헌관 집작)

집사자는 술잔을 헌관에게 드리고 헌관은 술잔을 받아헌작하십시오

○ 獻酌 以授 執事 奠于 神位前(헌작 이수 집사 전우 신위전) : 집사자는 받아서 신위앞에 올리십시오

○ 小退 再拜(소퇴 재배) : 뒤로 조금 물러나서 재배하십시오

○ 俯伏 興 平身(부복 흥 평신) : 몸을 구부려서 일어나고 몸을 바로서십시오

○ 引降 復位(인간 복위) : 내려와서 제자리에 서시오

行添酌禮(행첨작례) : 첨작례를 하겠습니다

○ 謁者 引 初獻官 因詣 香案前 跪(알자 인 초헌관 인예 향안전 궤)

알자는 초헌관을 모시고 나아가 향안에 무릎을 꿇고 앉게 하십시오

○ 執事者 以酌授 獻官(집사자 이작수 헌관 ) : 집사자는 술잔을 헌관에게 드리십시오

○ 獻官 以授 執事 三斟酒 于 盤盞(헌관 이수 삼짐주 우 반잔)

헌관은 읍하고 집사자는 잔에 술을 세 번 따르십시오

○ 俯伏 興 平身(부복흥평신) : 몸을 구부려서 일어나고 몸을 바로 서십시오

○ 引降 復位(인강복위) : 본자리로 돌아가십시오

○ 執事者 開飯 揷匙 飯中(집사자 개반 삽시 반중) : 집사자는 밥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꽂으십시오

○ 西柄 正著(서병 정저) : 서편 젖가락부터 바로하여 놓으십시오

○ 獻官 以下 諸 參祭者 俯伏 侑食(헌관 이하 제 참제자 부복 유식)

헌관이하 모든 참제자는 꿇어앉아 묵념하십시오

☞ 侑食 : 음식을 권하다

○ 大祝 三飮(대축 삼음) : 대축은 세 번 기침하십시오 噫歆(희흠)

○ 俯伏 興 平身(부복 흥 평신) : 몸을 구부려서 일어나고 몸을 바로서십시오

◎行 進茶禮(행 진다례) 숭늉을 올리겠습니다

○ 執事者 奉熟水 退 羹 奠 熟水 點飯(집사자 봉숙수 퇴 갱 전 숙수 점반)

집사자는 숭늉을 가져와 국을 물리고 숭늉에 밥을 조금씩 세 번 말으십시오

☞ 點 (점 점, 俗字는 点)

○ 獻官 以下 鞠躬 肅俟(헌관 이하 국궁 숙사) : 헌관 이하 몸을 조금 구부리고 잠깐 묵념하십시오

☞ 肅 (엄숙할 숙), 俟(기다릴 사)

○ 平身(평신) ; 몸을 바로서십시오.

○ 執事者 下 匙著 合 飯蓋 (집사자 하 시저 합 반개) : 수저를 내리고 밥뚜껑을 닫으십시오.

☞盖 (덮을 개) : 蓋의 俗字, 盒(합 합)

◎ 行 辭神禮(행 사신례) 사신례를 올리겠습니다.

○ 獻官 以下 諸 參祭者 辭神 再拜(헌관 이하 제 참제자 사신 재배)

헌관이하 모든 참제자는 절을 두 번하십시오 (鞠躬, 拜, 興, 拜, 興, )

◎ 行 飮福禮(행 음복례) 음복례를 올리겠습니다.

○ 謁者引 初獻官 詣 飮福位 西向 跪 (알자인 초헌관 예 읍복위서향 궤)

알자는 초헌관을 모시고 음복할 위치에 나가서 서쪽을 향하여 무릎을 꿇고 앉으십시오.

○ 大祝 進 獻官 之左 以酌 授酒(대축 진 헌관 지좌 이작 수주)

대축은 헌관의 좌측으로 가서 술을 드리십시오.

○ 獻官 受酒 飮 卒酌 受 俎肉(헌관 수주 음 졸작 수 조육)

헌관은 술을 받아 조금 마시고 안주를 드십시오

☞ 飮 (마실 음), 俎(도마 조)

☞ 俎肉 : 예전에, 제사에 사용한 고기를 이르던 말.

○ 引降 復位(인강복위) : 본자리로 돌아가십시오.

○ 大祝 取 祝板 降西階 可燎 置 於坎(대축 취 축판 강서계 가료 치 어감)

대축은 축판을 가지고 서쪽계단을 내려가서 축문을 태우고 구덩이에 묻으십시오

☞ 燎 (화롯불 료), (불을)놓다, 태우다. 坎(구덩이 감)

○ 白 畢禮(백 필례) : 행사가 마쳤음을 알리십시오

자료 출처 : http://blog.daum.net/ansdufrhd/11859531, 南平文氏 北面 門會 제공

2. 충간공 묘제 홀기

永川 道有齋 儒道會 中央委員 金採洙 초()

○ 執禮先就墓前再拜就位(집례선취묘전재배취위)

집례는 먼저 묘앞에 나가 재배하고 제자리로 가시오

☞ 就 : 나아갈 취, 나아가다.

○ 獻官以下在位者皆序立(헌관이하재위자개서립) : 헌관 이하 참례자 모두 차례로 서시오

☞ 皆 : 다 개, 다, 모두, 다함께

○ 祝官諸執事前列序立(축관급제집사전열서립) : 축관과 제집사는 앞줄에 차례로 서시오

○ 謁者引 初獻官 點視還出(알자인초헌관점시환출)

알자는 헌관을 인도하여 제수를 점검하고 돌아오시오.

○ 謁者進初獻官之請行事(알자진초헌관지청행사) : 알자는 초헌관에게 제사 시작을 청하시오 <청행사>

※ 之 : ① 가다, 이르다, ② 그, , 그 사람, 그것

③ 문장에서 뜻이 없이 문법적인 결합 관계만 나타냄 ④ …의, …한(하는), …이()

◎ 行參神禮(행참신례) 참신례를 하시겠습니다.

○ 獻官以下在位者皆再拜(헌관이하재위자개재배) : 헌관 이하 참례자 모두 재배하시겠습니다<국궁>

○ 鞠躬 拜 興 拜 興 興平身(국궁 배흥배흥 흥평신)

◎行降神禮(행강신례) 강신례를 하시겠습니다.

○ 謁者引初獻官盥洗位(알자인초헌간세위) :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로 나가시오

○ 盥手帨手升 墓前跪(관수세수승 묘전궤) ; 초헌간은 손을 씻으시고 묘소앞에 무릎을 끓으시고

☞ 帨(수건 세), 옛날, 허리에 차던 수건. [지금의 손수건과 같음]

○ 奉香奉爐盥手帨手就位(봉향봉로관수세수취위)

봉향 봉로는 관수 세수하고 초헌관의 좌우에 꿇으시오

○ 初獻官焚香三上香(초헌관분향 삼상향) : 초헌관께서는 향을 세 번 상향하시겠습니다.

○ 奉香盒香爐 環置於故處(향합향로 환치어고처) : 향합과 향로는 제자리에 놓으시오.

○ 初獻官少退再拜復跪(초헌관소퇴재배복궤) : 초헌관은 재배하시고 다시 무릎을 꿇으시겠습니다.

○ 司樽封爵奠爵盥洗位(사준 봉작전작 관세위) : 사준 봉작 전작은 관세위로 나가시오.

○ 盥手帨手各就位(관수세수각취위) : 관수세수 하시고 각자 정해진 자리로 가시오.

○ 司樽斟酒以爵授奉爵(사준짐주이작수봉작) : 사준은 제주를 따르어서 봉작에게 주시오.

☞ 爵(잔 작)

○ 奉爵受以爵授初獻官(봉작수이작수초헌관) : 봉작은 술잔을 받어서 초헌간에게 주시오

○ 初獻官受酒三灌于地(초헌관수주삼관우지)

초헌관은 술잔을 받어서 세 번 나누어 땅에 따르시겠습니다.

☞ 灌(물댈 관, 믈대다, 붓다, 따르다)

: …에. …에서. …에게. …부터 [장소, 시간, 방향, 대상, 동작의 방향, 원인, 이유, 근거]

○ 初獻官小退再拜降復位(초헌관소퇴재배강복위)

초헌관은 재배하시고 내려가 제자리로 가시겠습니다.

○ 奉香奉爐降自復位(봉향봉로강자복위) : 봉향봉로는 내려가 제자리로 가시오.

◎ 行初獻禮(행초헌례) 초헌례를 하시겠습니다.

○ 謁者引初獻官升墓前跪(알자인초헌관승묘전궤)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묘소앞에 무릎을 꿇으시겠습니다.

○ 司樽斟酒以爵授奉爵(사준짐주이작수봉작) : 사준은 제주를 잔에 따르어서 봉작에게 주시오

○ 奉爵受以爵授初獻官(봉작수이작수초헌관) : 봉작은 제주를 받아서 초헌관에게 주시오.

○ 初獻官受盞祭酒授奠爵(초헌관수잔제주수전작) : 초헌간은 제주를 받어서 전작에게 주시오.

○ 奠爵受奠于考位前(전작수전우고위전) : 전작은 제주를 받어서 할아버지 신위전에 올리시오.

○ 初獻官次詣妣位前跪(초헌관차예비위전궤)

다음에 초헌관은 할머니 신위전에 무릎을 꿇으시오.

○ 司樽祭酒斟酒以爵授奉爵(사준제주짐주이작수봉작) : 사준은 제주를 따르시어 봉작에게 주시오

○ 奉爵受以爵授初獻官(봉작수이작수초헌관) : 봉작은 제주를 받아서 초헌관에게 주시오.

○ 初獻官受盞祭酒授奠爵(초헌관수잔제주수전작) : 초헌간은 제주잔을 받아서 전작에게 주시오.

○ 奠爵受奠于妣位前(전작수전우비위전) : 전작은 제주잔을 받아서 할머니 신위전에 올리시오.

○ 奉爵奉肉炙授初獻官(봉작봉육적수초헌관) : 봉작은 육적을 받아서 초헌관에게 주시오.

○ 初獻官受肉炙授奠爵(초헌관수육적수전작) : 초헌관은 육적을 받아서 전작에게 주시오.

○ 奠爵受奠于神位前(전작수전우신위전) : 전작은 제주를 받아서 할머니 신위전에 올리시오.

○ 奠爵啓飯蓋(전작계반개) : 전작은 메뚜껑을 열어 놓으시오.

◎ 讀祝(독축) 독축이 있겠습니다.

○ 祝官升初獻官之東向跪(축관승초헌관지동향궤)

축관은 올라가 초헌관의 왼쪽에서 동쪽을 향해 꿇으시오.

○ 獻官以下在位者皆俯伏(헌관이하재위자개부복) : 헌관이하 참례자 모두 부복하시오.

* 祝官 讀祝(축관 독축)

○ 讀祝畢獻官以下興平身(독축필헌관이하흥평신) : 독축이 끝났으니 헌관이하 모두 일어나시오.

○ 初獻官小退再拜興平身(초헌관소퇴재배흥평신) : 초헌관은 조금 물러나서 재배하시고 일어나시오.

○ 謁者引初獻官降復位(알자인초헌관강복위) :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내려가시오

○ 奉爵神位前盞盤取退酒(봉작신위전잔반취퇴주) : 봉작은 신위전 제주를 내리고 퇴주하시오.

◎ 行亞獻禮(행아헌례) 아헌례를 하시겠습니다.

○ 謁者引亞獻官詣盥洗位(알자인아헌관예관세위) : 알자는 아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에 나가시오.

○ 盥手帨手升墓前跪(관수세수승묘전궤) : 관수세수하시고 묘소앞에 무릎을 꿇으시오

○ 司樽祭酒斟酒以爵授奉爵(사준제주짐주이작수봉작) : 사준은 제주를 따르어서 봉작에게 주시오

○ 奉爵受以爵授亞獻官(봉작수이작수아헌관) : 봉작은 제주를 받아서 아헌관에게 주시오.

○ 亞獻官受盞祭酒授奠爵(초헌관수잔제주수전작) : 아헌관은 제주잔을 받아서 전작에게 주시오.

○ 奠爵受奠于考位前(전작수전우고위전) : 전작은 제주잔을 받아서 할아버지 신위전에 올리시오.

○ 亞獻官次詣妣位前跪(아헌관차예비위전궤) : 아헌관은 다음 비위전에 꿇어앉으시오

○ 司樽斟酒以爵授奉爵(사준짐주이작수봉작) : 사준은 제주를 따르어서 봉작에게 주시오

○ 奉爵受以爵授亞獻官(봉작수이작수아헌관) : 봉작은 제주를 받아서 아헌관에게 주시오.

○ 亞獻官受盞祭酒授奠爵(초헌관수잔제주수전작) : 아헌관은 제주잔을 받아서 전작에게 주시오.

○ 奠爵受奠于妣位前(전작수전우비위전) : 전작은 제주잔을 받아서 할머니 신위전에 올리시오.

○ 奉爵奉鷄炙授亞獻官(봉작봉계적수아헌관) : 봉작은 계적을 받들어 아헌관에게 주시오.

○ 亞獻官受鷄炙授奠爵(초헌관수잔제주수전작) : 아헌관은 계적을 받아서 전작에게 주시오.

○ 奠爵受鷄炙于神位前(전작수계적우신위전) : 전작은 계적을 받아서 신위전에 올리시오.

○ 亞獻官小退再拜興平身(아헌관소퇴재배흥평신) : 아헌관은 조금 물러나서 재배하시고 일어나시오.

○ 謁者引亞獻官降復位(알자인아헌관강복위) : 알자는 아헌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내려가시오

○ 奉爵神位前盞盤取退酒(봉작신위전잔반취퇴주) : 봉작은 신위전 제주를 내리고 퇴주하시오.

◎ 行終獻禮(행종헌례) 종헌례를 하시겠습니다.

○ 謁者引終獻官詣盥洗位(알자인종헌관예관세위) : 알자는 종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에 나가시오.

○ 盥手帨手升墓前跪(관수세수승묘전궤) : 관수세수하시고 묘소앞에 무릎을 꿇으시오

○ 司樽斟酒以爵授奉爵(사준짐주이작수봉작) : 사준은 제주를 따르어서 봉작에게 주시오

○ 奉爵受以爵授終獻官(봉작수이작수종헌관) : 봉작은 제주를 받아서 종헌관에게 주시오.

○ 終獻官受盞祭酒授奠爵(종헌관수잔제주수전작) : 종헌관은 제주를 받아서 전작에게 주시오.

○ 奠爵受奠于考位前(전작수전우고위전) : 전작은 제주를 받아서 할아버지 신위전에 올리시오.

○ 終獻官次詣妣位前跪(종헌관차예비위전궤) : 종헌관은 다음 비위전에 꿇어앉으시오

○ 司樽斟酒以爵授奉爵(사준짐주이작수봉작) : 사준은 제주를 따르어서 봉작에게 주시오

○ 奉爵受以爵授從獻官(봉작수이작수종헌관) ; 봉작은 제주를 받아서 종헌관에게 주시오.

○ 終獻官受盞祭酒授奠爵(종헌관수잔제주수전작) : 종헌관은 제주를 받아서 전작에게 주시오.

○ 奠爵受奠于妣位前(전작수전우비위전) : 전작은 제주를 받아서 할머니 신위전에 올리시오.

○ 奉爵奉魚炙授終獻官(봉작봉어적수종헌관) : 봉작은 어적을 들어서 종헌관에게 주시오.

○ 終獻官受魚炙授奠爵(종헌관수어적수전작) : 종헌관은 어적을 받아서 전작에게 주시오.

○ 奠爵受奠于神位前(전작수전우신위전) : 전작은 어적을 받아서 신위전에 올리시오.

○ 終獻官小退再拜興平身(종헌관소퇴재배흥평신) : 종헌관은 조금 물러나서 재배하시고 일어나시오.

○ 謁者引終獻官降復位(알자인종헌관강복위) : 알자는 종헌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내려가시오

○ 奉爵神位前盞盤取退酒(봉작신위전잔반취퇴주) : 봉작은 신위전 제주를 내리고 퇴주하시오.

◎ 行侑食禮(행유식례) 유식예를 하시겠습니다.

○ 謁者引初獻官升墓前跪(알자인초헌관승묘전궤)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묘소앞에 무릎을 꿇으시오.

○ 司樽他盞斟酒以爵授奉爵(사준타잔짐주이작수봉작)

사준은 다른 잔에 제주를 따르어서 봉작에게 주시오

○ 奉爵受以爵授初獻官(봉작수이작수초헌관) : 봉작은 술잔을 받아서 초헌관에게 주시오.

○ 初獻官受以盞授奠爵(초헌관수이잔수전작) : 초헌간은 제주를 받어서 전작에게 주시오.

○ 奠爵受添爵奠于考位前(전작수첨작전우고위전)

전작은 술잔을 받아 첨작을 할아버지 신위전에 올리시오.

○ 初獻官次詣妣位前跪(초헌관차예비위전궤) : 초헌관은 다음 비위전에 꿇어 앉으시오.

○ 司樽他盞斟酒授奉爵(사준타잔짐주수봉작) : 사준은 다른 잔에 제주를 따르시어 봉작에게 주시오

○ 奉爵受以爵授初獻官(봉작수이작수초헌관)

봉작은 제주를 받아서 초헌관에게 주시오.

○ 初獻官受以盞授奠爵(초헌관수이잔수전작) : 초헌관은 제주잔을 받아서 전작에게 주시오.

○ 奠爵受添酌奠于妣位前(전작수전우비위전)

전작은 술잔을 받아서 첨작을 할머니 신위전에 올리시오.

○ 謁者引初獻官降復位(알자인초헌관강복위) :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내려가시오

○ 奉爵奠爵揷匙飯中正箸(봉작전작삽시반정저) : 봉작과 전작은 수저를 꽂고 젓가락을 바르게 하시오.

○ 奠爵撤羹進茶三抄飯水(전작철갱진다삼초반수)

전작은 갱을 내리고 숙수를 올리시오. 밥을 세 번 물에 마르시오

☞ 抄(베낄 초, 노략질 초, 노략질하다. 숟가락 같은 것으로 뜨다)

○ 獻官以下皆俯伏肅竢(헌관이하개부복숙사) : 헌관이하 다 부복하시고 공손히 기다리시오.

☞ 肅(엄숙할 숙), (기다릴 사)

○ 奉爵三嘻音皆興平身(축관삼희음개흥평신) : 축관은 세 번 희음 하시고, 모두 다 일어서시오.

初獻官小退再拜興平身(초헌관소퇴재배흥평신) : 초헌관은 조금 물러나 재배하고 일어나시오.

○ 奉爵奠爵下匙箸合飯蓋(봉작전작하시저합반개) : 봉작과 전작은 시저를 내리고 반개를 덮으시오.

○ 獻官以下諸執事降復位(헌관이하제집사강복위) : 헌관이하 제집사는 전원 서쪽계단으로 내려오시오.

⊙ 行飮福禮(행음복례) 음복례를 하시겠습니다.

○ 謁者引初獻官飮福位跪(알자인초헌관음복위궤) :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음복할 자리로 가시오.

○ 祝官升初獻官之北向跪(축관승초헌관지북향궤) : 축관은 초헌관의 동쪽을 향해 무릎을 꿇으시오.

○ 謁者取考位盞盤授祝官(알자취고위잔반수축관)

알자는 할아버지 신위전의 술잔을 가져다 축관에게 주시오.

○ 祝官受盞盤授初獻官(축관수잔반수초헌관) : 축관은 술잔을 받아서 초헌관에게 주시오.

○ 初獻官受盞盤飮訖(초헌관수잔반음흘) : 초헌관은 술잔을 받아서 음복하시오.

○ 謁者取脯肉授祝官(알자취포육수축관) : 알자는 포육을 들어서 축관에게 주시오.

○ 祝官受脯肉授初獻官(축관수포육수초헌관) : 축관은 포육을 받아서 초헌관에게 주시오.

○ 初獻官受之脯肉飮福訖(초헌관수지포육음복흘) : 초헌관은 포육을 받아서 음복을 하시겠습니다.

☞ 訖(이를 흘, 이르다, 마치다, 끝나다, 모두, 다, 이미, 벌써)

○ 謁者引初獻官祝官復位(알자인초헌관복위) : 알자는 초헌관 축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가시오.

◎ 行辭神禮(행사신례) 사신례를 하시겠습니다.

○ 獻官以下在位者皆再拜(헌관이하재위자개재배) : 헌관이하 참례자 모두 재배하시겠습니다.<국궁>

○ 鞠躬 拜 興 拜 興 興平身(국궁 배 흥 배 흥 흥 평신)

◎ 行望燎禮 망료례를 하시겠습니다.

☞ 望燎 : 제사가 끝나고 축문이나 지방이 불에 다 탈 때까지 지켜보는 일

☞ 燎(화롯불 료)

○ 謁者引初獻官詣望燎位(알자인초헌관예망료위) :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망료할 자리로 가시오.

○ 祝官取祝文西階焚祝文(축관취축문서계분축문)

축관은 축문을 가지고 서쪽계단 아래에서 불 사르시오.

☞ 焚(불사를 분)

○ 謁者引初獻官祝官復位(알자인초헌관축관복위) :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가시오

○ 祝官升撤饌消燭降復位(축관승철찬소촉강복위) : 축관은 올라가 철상하고 촛불을 끄고 내려가시오.

☞ 消(사라질 소)

○ 謁者進初獻官左白禮畢(알자진초헌간좌백례필) : 알자는 초헌관에게 제례가 끝났음을 고하시오.

○ 執禮直日降復位再拜(집례직일강복위재배) : 집례와 직일은 내려가 재배하시오.

○ 謁者引獻官以下皆次出(알자인헌관이하개차출) : 알자는 헌관이하 모두 인도하여 차례로 내려가시오.

자료 출처 :http://blog.daum.net/yongon51/11340660 

3. 수정재 묘사 홀(평산신씨 영덕파)

○ 掃除堦砌(소제계체)

: 섬돌 계, 섬돌, 층계, 階와 同字

: 섬돌 체

階砌 : 무덤 앞에 놓는 편평하고 길쭉하게 다듬은 돌.

○ 陳盥盆帨巾(진관분세건)

: 대야 관, 씻다. : 동이 분, 밥짓는 그릇

: 수건 세, 수건, 닦다. : 수건 건, 수건, , 두건

盥盆(관분) : 세숫대야

帨巾(세건) : 세수 수건

○ 執事陳設(집사진설)

○ 獻官以下以次序立(헌관이하이차서립)

以次(이차) : 이하. 아래. 다음. 순서대로. 순서에 의하여. 차례로.

○ 謁者引初獻官(알자인초헌관)

○ 詣()

○ 盥洗位(관세위)

○ 盥洗(관세)

○ 引詣 堦前(인예 계전)

○ 跪()

◈ 行降神儀(행강신의)

○ 三上香(삼상향)

○ 執事以酒注西面跪(집사이주주서면궤)

: 물댈 주, 물대다, 붓다, 따르다.

○ 一人奉卓上盞盤東面跪於初獻官之左

(일인봉탁상잔반동면궤어초헌관지좌)

東面(동면) : 동쪽 면, 동쪽으로 향함

○ 初獻官斟酒於盞盤酹之茅上(초헌관짐주어잔반뢰지모상)

盞盤(자반) : 술잔과 받침

: 술 따를 짐, 술을 따르다.

: 띠 모,

: 부을 뢰, 제주 랄붓다. 제사 때 술을 땅에 부음

○少退再拜(소퇴재배)

○ 引降復位(인강복위)

◈ 行參神儀(행참신의)

○ 獻官及在位者皆再拜(헌관급재위자개재배)

◈ 行初獻儀(행초헌의)

○ 謁者引初獻官進詣階前(알자인초헌관진예계전)

○ 北向跪(북향궤)

○ 執事取盞盤跪進於初獻官之左(집사취잔반궤진어초헌관지좌)

○ 初獻官斟酒於盞盤(초헌관짐주어잔반)

○ 執事受盞盤奉奠於故處(집사수잔반봉전어고처)

○ 正箸西柄(정저서병)

○ 祝()

○ 執板於初獻之左(집판어초헌지좌)

○ 東向跪(동향궤)

○ 獻官以下在位者皆俯伏(헌관이하재위자개부복)

○ 讀祝(독축)

○ 獻官以下在位者皆興(獻官以下在位者皆興)

○ 獻官(헌관)

○ 俛()

: 힘쓸 면, 힘쓰다,머리를 구부리다.

○ 伏()

: 엎드릴 복

○ 興()

○ 少退再拜(소퇴재배)

○ 引降復位(인강복위)

◈ 行亞獻儀(행아헌의)

○ 贊人引亞獻官(찬인인아헌관)

○ 詣()

○ 盥洗位(관세위)

○ 盥洗(관세)

○ 引詣階前(인예계전)

○ 北向跪(북향궤)

○ 執事取盞盤跪進於亞獻官之左(집사취잔반궤진어아헌관지좌)

○ 亞獻官斟酒於盞盤(아헌관짐주어잔반)

○ 執事受盞盤奉奠於故處(집사수잔반봉전어고처)

○ 獻官(헌관)

○ 俛()

○ 伏()

○ 興()

○ 少退再拜(소퇴재배)

○ 引降復位(인강복위)

◈ 行終獻儀(행종헌의)

○ 贊人引終獻官(찬인인종헌관)

○ 詣()

○ 盥洗位(관세위)

○ 盥洗(관세)

○ 引詣階前(인예계전)

○ 北向跪(북향궤)

○ 執事取盞盤跪進於終獻官之左(집사취잔반궤진어종헌관지좌)

○ 終獻官斟酒於盞盤(종헌관짐주어잔반)

○ 三除於茅上(삼제어모상)

○ 執事受盞盤奉奠於故處(집사수잔반봉전어고처)

○ 獻官(헌관)

○ 俛()

○ 伏()

○ 興()

○ 少退再拜(소퇴재배)

○ 引降復位(인강복위)

◈ 行侑食儀(행유식의)

○ 謁者引初獻官進詣階前(알자인초헌관진예계전)

○ 北向跪(북향궤)

○ 執事取添中酒(집사취첨중주)

○ 獻官少退再拜(헌관소퇴재배)

○ 引降復位(인강복위)

○ 執事者啓飯盖(집사자계반개)

○ 揷匙(삽시)

○ 正箸(정저)

○ 獻官以下皆俯伏(헌관이하개부복)

○ 少頃(소경)

○ 祝噫歆三(축희흠삼)

○ 獻官以下皆興(헌관이하개흥)

○ 平身(평신)

○ 執事進茶(집사진차)

○ 點茶(점차)

○ 鞠躬(국궁)

○ 少頃(소경)

○ 平身(평신)

○ 執事者(집사자)

○ 降匙箸(강시저)

○ 闔飯盖(합반개)

: 문짝 합, 문을 닫다.

: 덮을 개, 덮다, 뚜껑

◈ 行辭神儀(행사신의)

○ 初獻官以下皆再拜(초헌관이하개재배)

○ 祝焚祝(축분축)

○ 掇酌(철작)

○ 禮畢(예필)

※ 享祀 執事 分定記(향사 집사 분정기) : 파록(爬錄)이라고도 함

初獻官 : 첫 잔 드리기

亞獻官 : 두 번째 잔 드리기

終獻官 : 마지막 세 번째 잔 드리기

執禮 : 笏記를 맡아 부른다(唱笏)

大祝 : 축을 쓰고 읽는다.

(典祀官)(陳設官) : 제수를 차리는 일을 맡은분

謁者 : 初獻官 祭禮 奉行 도운다.

贊人 : 亞獻官, 終獻官의 祭禮 奉行 도운다.

判陳設 : 祭需를 法道에 맞게 진설한다.

奉香 : 香盒을 받들어 獻官 右側에 간다.

奉爐 : 香爐을 받들어 獻官 左側에 간다.

奉爵 : 술잔을 받아서 헌관에게 드린다.(우측)

奠爵 : 獻官에게서 잔을 받아 神位前에 올린다.

司樽 : 준소에서 술을 맡아 잔에 부어준다.

通喝 : 집사 파록을 낭독한다. 喝(꾸짖을 갈)

學生 : 원로로써 제례 전반에 대해 고문에 응한다.

- 白雲 -

 

 

향기로운세상

 

출처 : 향기로운 세상
글쓴이 : 白 雲 원글보기
메모 :

'族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비문 쓰는 법  (1) 2017.08.19
[스크랩] 묘사 지내는 법  (0) 2017.08.05
譜學常識  (0) 2017.08.02
진주강씨(晋州姜氏)  (0) 2017.08.01
지방에 임금황자를 쓰는 문중-혜평공파  (0) 2016.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