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 순서 |
의미 |
내 용 |
조상모심 강신/ 降神
|
조상을 모심 |
(제주) 향을 피운다 (집사) 제주에게 술을 따라준다. (제주) 술을 모사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붓는다. (제주) 두 번 절한다. |
문안인사 참신/ 參神 |
조상에 대한 인사
|
(전원) 제사 참가자 모두 합동으로 두 번 절한다. |
첫잔드림 초헌/ 初獻
|
(제주) 향을 피운다. (집사) 남자조상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가득 부어준다. (제주) 모사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붓는다. (제주) 7부 정도 남은 술을 집사에게 준다. (집사) 술잔을 밥과 국 사이에 놓고 젖가락을 음식 위에
놓는다. (제주) 두 번 절한다. |
축문읽기 독축 / 讀祝
|
(전원) 모두 꿇어 앉는다. (제주) 축문을 읽는다. (전원) 두 번 절한다. |
둘째잔드림 아헌 / 亞獻 |
첫잔드림의 절차와 동일
(단, 모사그릇에 술 따르는 절차 생략한다.) |
끝잔드림 종헌 / 終獻 |
첫잔드림의 절차와 동일
(단, 모사그릇에 술 따르는 절차 생략. 술은 7부로 따른다.) |
식사권유 유식 / 侑食
|
조상의 음식 드심
|
(제주) 술주전자를 들고 남자조상의 잔과 여자조상의
잔에 술을 가득 따른다. (제주부인) 메(밥) 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메 한가운데
꽂는다. (제주부인) 젖가락은 손잡이가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다. (제주/제주부인) 같이 두 번 절한다. |
예전에는 식사권유 후 조상께서 편히 식사를 하시라는 의미로
문 밖에 나가 잠시 기다린 다음 숭늉을 올렸다.
요즘은 집 구조상 참사자들이 잠시 무릎을 꿇고 대기한 후
숭늉을 올리기도 한다.
|
숭늉올림 헌다 / 獻茶
|
(제주) 국을 물리고 숭늉을 올린다. (제주) 밥을 숭늉에 세 숫가락 말아 놓고 젖가락을 고른다. |
작별인사 사신 / 辭神 |
조상을 보내드림 |
(전원) 제사 참사사 모두 합동으로 두 번 절한다. |
지방소각 납주 / 納主 |
(제주) 향 앞에서 지방과 축문을 소각하여 재는 향로에
담는다. |
제상정리 철상 / 撤床 |
안쪽에 있는 음식부터 차례로 음식을 내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