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당·황순원 문학상 최종 후보작 지상중계 ⑧ 시 - 이문재
[중앙일보]
세상과 어긋난
걸음의 아나키스트
도시문명에서 버티는 생명 예찬
도시문명에서 버티는 생명 예찬
시인에게서 겨울을 보는 건, 눈 내린 아침이 아니라 혹독한 겨울 벌판을 느끼는 건, 세상과 어긋난 시인의 걸음걸이를 알기 때문이다. 아마도 그래서일 것이다. 누구는 시인을 아나키스트라 하고, 또 누구는 테러리스트라 부른다. 앞서 인용한 '금줄'이란 시를 보자. 며칠 집을 비운 사이, 아파트 베란다가 개구리 뛰놀고 달팽이 기어다니고 금붕어 헤엄치는 곳이 돼버렸다. 수돗물 마시고 배합사료 받아먹는 생명이 꿈틀대고 있었다. 그 모양이 하도 기특해 금줄이라도 치려는 것이다. 언뜻, 살아있는 것들에 대한 예찬으로 읽힌다. 그러나 시인은 한 발짝 더 나아간다. '도시 바깥을 낯설어하며/야생을 두려워하며/…/사람이 제일 무서운 것/우리들 사람이 제일로 무지한 것'이 '엄연한 생태'라고, 시인은 분명하게 말한다. 그러니까 시인은, 도시문명이 싫은 것이다. 무서운 것이다. 올 봄에 발표한 '내가 어디 멀리 다녀온 것 같다'는 메시지가 보다 분명하다. '죽어가는 것들은 여전히 죽어가고 있고/대량생산은 국경을 넘나들며 여전히 혈기왕성했다/…/민주주의는 소음과 똑같은 소음의 대결이었고/…/혁명은 여전히 냉장고와 좌변기 사이에 있었다'. 사회에 대한 환멸까지 느껴진다. 시인은 또렷한 목소리로 말한다. '시 잘 쓰는 시인은 언제 어디서나 당당해야 하는데/아직도 여전히 시인과 농부가 맨 끝 인류의 마지막이었다/아무래도 내가 어디 멀리 갔다가 온 것이다'. 시인이 처음부터 모질었던 건 아니다. 지난 세기만 해도 그는 농경문화의 옛 기억을 길어올리고, '마음의 오지'를 찾아 홀로 길을 떠나곤 했다. 하나 21세기에 들면서 변화하기 시작했다. 달라진 모습이 두드러진 건, 이태 전 출간된 네 번째 시집 '제국호텔'에서였다. 그때부터 시인은 "이미지보다 메시지에 충실한 시편"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급기야 지난해 가을, 시인은 다음과 같이 속내를 드러낸다. '마흔에 가까워지면서 북북서진이라는 낯선 표현이 내 안에서 스며나왔는데, 그것은 뒤늦게 드는 철 같은 것이었다. 북북서진은 나의 정체성과 직결된 이미지였으니, 나는 실향민의 아들이었다. … 당분간 시가 무거워질 것 같다.' 어느 술자리에서였다. 술에 취한 시인은 "80년대엔 내가 제일 뒤에 있었는데, 어느새 내가 제일 앞에 있더라"고 중얼거렸다. 며칠 전에 다시 물었다. "그 줄 얘기, 여전히 유효하지요?" 시인은 겨우 답했다. "제일 앞은 아니고, 뒤에서 서너 번째 정도일 거야." 소설가 고종석이 시인을 두고 이른 말이 있다. '이문재의 얼굴에는 달콤한 불행 의식으로 생을 버티는 70년대 젊은이의 표정이 있다.' 아무리 읽어도 맞는 말이다. 손민호 기자 |
'수상한 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당문학상 최종후보작(10)황병승 (0) | 2006.09.08 |
---|---|
미당문학상 최종후보작(9)정진규 (0) | 2006.09.08 |
미당문학상 최종후보작(7)문정희 (0) | 2006.09.08 |
미당문학상 최종후보작(6)문인수 (0) | 2006.09.08 |
미당문학상 최종후보작(5)나희덕 (0) | 2006.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