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의 시

이규리 시인의 대표 시 모음 (10편)

시치 2023. 5. 4. 12:23

레고나라에서 우리/이규리

식상하게 이유를 길게 말 할 필요가 없어요

대신

레고 블록을 주세요

레고나라에도 이합집산이 있는데

아이들이 얼마나 일찍 철이 드는지

빨강과 파랑을 달리 끼워도

살짝 돌아보고 웃음 지을 뿐이에요

앞바퀴와 뒤 바퀴를 바꾸면 조금 투덜거리지만 이내

굴러 가고 있으니까요

리 리 릿자로 끝나는 말은,

그런데 조심해야 할 것은

바꾸어 사용하더라도 이유를 모르지는 마세요

이유를 말하지 않더라도 늦지는 마세요

곰 세 마리가 한 집에 있어야 하니까요

블록과 블록, 새와 구름

화면과 화면을 터치 터치

상상을 끼우고 빼고 조립하며서

어느 별은 태어나고 어느 별은 추락해도 끄떡없어요

이별도 다시 끼우면 되니까요

빨강은 다 타버린단 말이야 파랑을 줘 그런 동안

꿈이 착착 도착 중이랍니다

 

내색/이규리

 

꽃은 그렇게 해마다 오지만

그들이 웃고 있다 말할 수 있을까

어떤 일로 사진을 찍으러 온 사람이 있는데

자꾸 웃으라 했네

거듭, 웃으라 주문을 했네

울고 싶었네

아니라 아리라는데 내 말을 나만 듣고 있었네

뜰의 능수매화가 2년째 체면 유지하듯 겨우 몇 송이 피었다

너도 마지못해 웃은 거니?

간유리 안의 그림자처럼, 누가 심중을 다 보겠는가마는

아무리 그렇다 해도

미소 친절띠를 두른 관공서 직원처럼

뭐 이렇게까지

미소를 꺼내려 하시는지

여긴 아직 내색에 무심하다

그러니 꽃이여, 그저 네 마음으로 오면 되겠다

 

허공은 가지를/이규리

 

종일 바람 부는 날, 밖을 보면

누가 떠나고 있는 것 같다

바람을 위해 허공은 가지를 빌려주었을까

그 바람, 밖에서 부는데 왜 늘 안이 흔들리는지

종일 바람을 보면

간간히 말 건너 말을 한다

밖으로 나와, 어서 나와

안이 더 위험한 곳이야

하염없이

때때로 덧없이

떠나보내는 일도 익숙한

그것이 바람만의 일일까

나무가 나무를 밀고

바람이 바람을 다 밀고

 

, 저 하는 사이에/이규리

 

그가 커피숍에 들어섰을 때

재킷 뒤에 세탁소 꼬리표가 그대로 달려 있었다

여기까지 오는 동안

왜 아무도 말해주지 못했을까

그런 때가 있는 것이다

애써 준비한 말 대신 튀어나온 엉뚱한 말처럼

저 꼬리표 탯줄인지 모른다

그런 때가 있는 것이다

상견례하는 자리에서

한쪽 인조 속눈썹이 떨어져나간 것도 모르고

한껏 고요히 앉아 있던 일

각기 지닌 삶이 너무 진지해서

그 일 누구도 말해주지 못했을 것이다

, , 하면서도 말하지 못했을 것이다

7년간의 연애를 덮고 한 달 만에 시집간 이모는

7년을 어디에 넣어 갔을까

그런 때가 있는 것이다

아니라 아니라 못하고 발목이 빠져드는데도

, , 하면서

아무 말도 아무 말도 할 수 없는 그런 때가

있는 것이다

 

나무가 나무를 모르고/이규리

 

공원 안에 있는 살구나무는 밤마다 흠씬 두들겨맞는다

이튿날 가보면 어린 가지들이 이리저리 부러져 있고

아직 익지도 않은 열매가 깨진 채 떨어져 있다

새파란 살구는 매실과 매우 흡사해

으슥한 밤에 나무를 때리는 사람이 많다

모르고 때리는 일이 맞는 이를 더 오래 아프게도 할 것이다

키 큰 내가 붙어 다닐 때 죽자고 싫다던 언니는

그때 이미 두들겨맞은 게 아닐까

키가 그를 말해주는 것도 아닌데, 내가 평생

언니를 때린 건 아닐까

살구나무가 언니처럼 무슨 말을 하진 않았지만

매실나무도 제 딴에 이유를 남기지 않았지만

그냥 존재하는 것으로

한쪽은 아프고 다른 쪽은 미안했던 것

나중 먼 곳에서, 어느 먼 곳에서 만나면

우리 인생처럼

그 나무가 나무를 서로 모르고

 

 

제라늄/이규리

 

안에서는 밖을 생각하고 밖에서는 먼 곳을 더듬고 있으니

나는 당신을 모르는 게 맞습니다

비 맞으면서 아이는 화분에 물을 주고 있었어요

약속이라고, 자신에게 하는 말이라고

물은 비를 동일하게 생각하지 않나봐요

그런 은유라면

나는 당신을 몰랐다는 게 맞습니다

모르는 쪽으로 맘껏 가던 것들

밖이라는 원망

밖이라는 새소리

밖이라는 아집

밖이라는 강물

조금 먼저 당신을 놓아주었다면 덜 창피했을까요

비참의 자리에 대신 꽃을 둡니다

제라늄이 창가를 만들었다는 거

창가는 이유가 놓이는 곳이라는 거

말 안 해도 지키는 걸 약속이라 하지요

늦었지만 저녁의 냄새를 맡을 수 있게 되었으니

저녁에게 이르도록 하겠어요

여름, , 안개, 살냄새

화분을 들이며 덧문을 닫는 시간에 잠시 당신을 생각합니다

흔들림도 이젠 꿈인데

닫아두어도 남는 마음이란 게 뭐라고

꽃은 붉고

비 맞는 화분에 물도 주면서 말입니다

 

입술

 

당신은 좀 다른 줄 알았어요

제주 말고기가 부드러워졌다지만

그렇다고 먹고 싶지는 않아요

여자들은 아무도 그걸 먹지 않았어요

점점 멀어지는 실어 대신

붉은 남자들의

입술을 바라보기만 했어요

번들거리는 입술

그토록 큰 면적이 있을까요

피해 달아나던 밤은 암울했지요

입술은 어두웠던 날을 떠돈 의기양양들이지만

우스운 믿음이었을 뿐

제 생을 말고기 살점인 듯 씹고

또 씹으며

허무는 동맹처럼 씩씩했어요

그러나 입술은 역사가 되지 못하죠

문 밖을 나서면 생각도 안 나는 이유들끼리

말고기가 왜 질겨야 했는지

어떤 사람은 알았다 해요

 

그러므로 그래서

 

산책은 나무에서 나와 나무 아닌 곳으로 들어간다

해 질 무렵이면

마음은 곧잘 다른 마음이 되어

노을을 낭비하였는데

이어지는 저녁의 이야기는

흐린 은유는

아무 때나 친절하면 안 된다는 듯

우리는 지나가는 그늘

공기조차 알아채지 않도록

그건 나무에게 이름을 걸어주지 않는 이유와 같을 것

없는 슬픔이 도와

그러므로 그래서

안녕히 가세요

나의 시간

 

당신은 첫눈입니까


누구인가 스쳐지날 때 닿는 희미한 눈빛, 더듬어보지만 멈칫하는 사이 이내 사라지는 마음이란 것도 부질

없는 것 우린 부질없는 것에 대해 더 많이 이야기하였다 그렇지 않으면 모르고 지나친 일을 견디지 못했을

것이다 낯낯이 드러나는 민낯을 어쩌지 못했을 것이다 생각날 듯 말 듯 생각나지 않아 지날 수 있었다

아니라면 모르는 사람을 붙들고 더욱 부질없어질 뻔하였다 흩날리는 부질없음을 두고 누구는 첫눈이라 하고

누구는 첫눈 아니라며 다시 다듬어보는 허공, 당신은 첫눈입니까

오래 참아서 뼈가 다 부서진 말
누군가 어렵게 꺼낸다
끝까지 간 것의 모습은 희고 또 희다
종내 글썽이는 마음아 너는,

슬픔을 슬픔이라 할 수 없어
어제를 먼 곳이라 할 수 없어
더구나 허무를 허무라 할 수 없어
첫눈이었고

햇살을 우울이라 할 때도
구름을 오해라 해야 할 때도
그리고 어둠을 어둡지 않다 말할 때도
첫눈이었다

그걸 뭉쳐 고이 방안에 두었던 적이 있다

우리는 허공이라는 걸 가지고 싶었으니까
유일하게 허락된 의미였으니까

저기 풀풀 날리는 공중은 형식을 갖지 않았으니

당신은 첫눈입니까

 

꽃피는 날 전화를 하겠다고 했지요 / 이규리

 

꽃피는 날 전화를 하겠다고 했지요
꽃피는 날은 여러 날인데 어느 날의 꽃이 가장 아름다운지 헤아리다가
어영부영 놓치고 말았어요
산수유 피면 산수유 놓치고
나비꽃 피면 나비꽃 놓치고

꼭 그날을 마련하다가 풍선을 놓치고 햇볕을 놓치고
,
전화를 하기도 전에 덜컥 당신이 세상을 뜨셨지요
모든 꽃이 다 피어나서 나를 때렸어요

죄송해요
꼭 그날이란 게 어디 있겠어요
그냥 전화를 하면 그날인 것을요
꽃은 순간 절정도 순간 우리 목숨 그런 것인데

차일피일, 내 생이 이 모양으로 흘러온 것 아니겠어요
그날이란 사실 있지도 않은 날이라는 듯
부음은 당신이 먼저 하신 전화인지도 모르겠어요
그렇게 당신이 이미 꽃이라
당신 떠나시던 날이 꽃피는 날이란 걸 나만 몰랐어요

 

 

 

<<이규리 시인 약력>>

*1955년 경북 문경 출생.

*계명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졸업.

*1994현대시학을 통해 등단.

*시집 앤디 워홀의 생각』『뒷모습』『최선은 그런 것이에요』『당신은 첫눈입니까

 

'시인의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추인 시 보기,2(10편)  (0) 2022.01.27
김추인 시 보기 2(10편)  (0) 2022.01.25
김추인 시 보기(8편)  (0) 2022.01.25
『원숭이의 원숭이』-김륭 시집  (0) 2021.06.15
김륭 시 읽기  (0) 2021.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