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회에 사자 존자가 불교를 위해서 순교하신 이야기와 유사한 사례는 그 뒤에도 가끔 있었다. 법을 위해서 목숨을 희생하신 위대한 순교정신을 높이 기리기 뜻에서 몇 가지를 더 소개한다.
신라의 이차돈(異次頓, 506∼527)에게는 순교의 아름다운 역사가 있다. 이차돈은 신라 법흥왕 때 불교의 순교자이다. 성은 박씨며 이름은 염촉이요, 자는 염도(厭都)다. 일명 거차돈(居次頓)이라고도 한다. <삼국유사> 주(註)의 <아도비문>에 그의 아버지는 길승(吉升)이며, 할아버지는 공한(功漢)이고, 증조부는 흘해왕(訖解王)으로 되어 있다.
일찍부터 불교를 신봉했으나 국법으로 허용되지 않음을 한탄했다. 법흥왕의 근신(近臣)으로 내사사인에 올랐고, 527년(법흥왕 14)에 법흥왕이 불교의 힘으로 국운의 번영을 꾀하고자 불교를 공인하려 했지만 무속신앙에 젖은 신하들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하자 법흥왕의 뜻을 헤아리고 스스로 순교를 자청하여 불교의 공인을 주장하였다. 결국 불사를 시작하여 절을 짓다가 국가의 영을 어긴 죄목으로 처형되었는데, “만일 부처님이 있다면 반드시 기적이 일어날 것이다” 라고 예견한 대로 그의 목을 베니 피가 흰 젖빛으로 변하여 높이 솟구치고 갑자기 캄캄해진 천지에서 꽃비가 내리는 등 기이한 현상이 일어났다.
후인들은 반드시 정신 계승해
불법을 널리 오래 펼치길…
중국 당나라 때 자인(慈忍)대사도 그와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자인대사가 살던 곳에 심한 가뭄이 들었는데 주민들이 염소와 돼지를 잡아서 기우제를 지내려고 하였다. 자인대사가 그것을 알고는 무고한 생명을 죽이지 말고 자기가 희생이 될 것을 자청하였다. 자인대사가 기우제를 지내기 위해 스스로 몸을 희생하니 대사의 몸에서 흰 피가 나왔다. 그 후로 가뭄은 모두 해소되고 많은 비가 내렸다고 전한다.
구마라습(鳩摩羅什)스님의 제자에 승조(僧肇, 338~414)법사라는 분이 있었는데 라습문하의 사철(四哲)로 유명한 분이다. 승조법사는 재질이 특이하고 뛰어났으므로 그 당시 요진(姚秦)나라 임금이 ‘승조법사를 환속시켜 재상으로 삼으면 천하가 요순세계로 돌아가 태평시절이 될 것이다’ 라고 생각하고 구마라습스님에게도 청하고 승조법사에게도 간청하였다.
“스님이 머리를 기르고 재상이 되어 정치를 한다면 천하에 명재상이 되어 백성들이 편안할 것이니 환속해서 부디 재상의 직을 맡아 주시오” 라고 하니, 승조법사가 끝내 허락하지 않고서, “재상이 다 무엇이냐! 일국의 재상이란 꿈속의 꿈이고 어린애 잠꼬대 같은 소리다. 나는 무상대도를 얻어 영원토록 자유자재하여 일체 중생을 위해 살 뿐이다” 라고 하였다.
임금이 아무리 권해도 듣지 않으므로 마침내 옥에 가두어 버리고 “끝까지 내말을 듣지 않으면 죽여 버린다” 라고 위협하여도 막무가내였다. 나중에 정말 왕이 죽이려고 하니 승조법사께서,
“나를 꼭 죽이려면 일주일만 시간을 달라” 하고는 그 동안에 <보장론(寶藏論)> 한 권을 지었다. 그 문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불법의 진리가 없는 것이 없을 정도로 유명한 책이다. 일주일 뒤에 형틀에 올려놓고 죽이려 하니 게송을 읊었습니다.
“사대가 원래 주인이 없으며 오온도 본래 공하다. 머리를 가져 흰 칼날에 대니 마치 봄바람을 베는 것과 같네(四大元無主 五蘊本來空 將頭臨白刃 猶如斬春風)” 라고 하였다.
불교의 역사에는 이와 같은 사례들이 종종 있었다. 불법을 위해 이 한 몸을 초개처럼 버리는 것을 순교라 하며, 불교를 사랑하는 마음인 애불심(愛佛心)이라 한다. 불교가 어려운 상황에 처할 때 고인들의 불교를 위한 순교정신과 애불심이 더욱 숭고해 보이며 무구정광의 깃발이 되어 창공에 높이 펄럭이는 것 같다. 후인들은 반드시 그 정신을 본받아서 이 땅에 불법을 더욱 널리, 그리고 오래 오래 펼쳐지기를 정진해야 하리라.
무비스님 / 조계종 전 교육원장
[불교신문 2520호/ 4월2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