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관련글

시(詩)의 이론

시치 2007. 2. 14. 14:16
시의 이론


1. 시의 뜻 : 작가의 마음 속에 떠오르는 생각이나 느낌을 운율 있는 언어로 압축해서 표현한 운문 문학.

<유형 학습>
*시어에 대하여-시는 문자와 음성이라는 언어 기호를 통해서 예술적인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언어 예술이다.
언어 기호는 항상 일정한 의미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시는 주로 언어 기호에 담겨 있는 의미를 예술적으로 형상화하게 된다.

① 시어의 함축적 의미 파악 - 시의 언어는 과학의 언어와는 달리 외연적 의미 이상의 다양한 뜻을 담고 있다. 이를 시어의 함축성이라 한다. 시인은 자기만의 개성적인 의미를 창조하기 위해 언어의 함축적 의미에 관심을 기울이는데, 이 과정에서 시어의 함축적 의미는 문맥 속에서 새롭게 창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② 시어 간의 관계 파악 - 한 편의 시 속에는 다양한 의미의 시어들이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데, 이들 중에는 유사한 의미나 대립적인 의미를 지닌 시어들이 있어,
시상을 전개하고 시의 구조를 형성하며, 시의 주제를 형상화하는 데 크게 기여한다.

③ 시어의 특징과 효과 파악 - 특징적인 시어의 사용은 시의 성격을 결정짓기도 한다. 일상적인 언어 외에 종교적, 전통적, 향토적인 언어나 고유어, 조탁된 시어 등이 특징적인 시어로 많이 사용되며, 시어의 시각적, 청각적 효과도 시의 분위기와 주제를 드러내는 데 중요한 몫을 담당한다.

④ 시구의 의미 파악 - 시어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시구의 의미 또한 중요한 평가 대상이 된다. 시의 주제는 개별적인 시어의 의미 파악으로도 이루어지지만, 대개는 시구의 의미를 파악해 가는 과정에서 드러나게 된다. 따라서, 시구의 의미 파악은 작품의 종합적인 감상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2. 구성 요소
⑴ '운율' : 음악적 요소
⑵ '심상' : 회화적 요소 - 독자로 하여금 실제로 경험하는 것 같은 인상을 준다.
⑶ '의미' : 의미적 요소 - '함축적 의미'

3. 시의 구성
⑴ 음보(音步) : 낭독할 때에 같은 길이로 읽혀지는 주기성의 최소 단위
⑵ 구(句) : 시적 의미의 최소 단위
⑶ 행(行) : 최초로 완결된 율격 및 의미의 단위
⑷ 연(聯) : 시적 사고와 전개의 큰 틀

4.시의 종류
1)공시적 분류

(1) 운율과 형식에 따른 분류
① 정형시(定型試) - 외재율을 가진 시 예) 시조, 한시, 향가
② 자유시(自由詩) - 형식적 제약없이 내재율만 있는 시. 현대시의 대부분.
③ 산문시(散文詩) - 시적 내용을 산문으로 표현한 것으로 행과 연의 구별이 없다.

(2) 장르 개념을 토대로 한 분류
① 서정시(敍情詩) - 개인의 정서를 표현한 시
② 서사시(敍事詩) - 영웅을 주인공으로 하거나 서사적 줄거리를 가진 시.
예) 이규보의 '동명왕편', 용비어천가, 김동환의 '국경의 밤
③ 극시(劇詩) - 희곡의 형식을 취한 시

(3) 시인의 표현 태도에 따른 분류
① 서정시(敍情詩) - 시인의 독백 형식으로 된 시
② 서사시(敍事詩) -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전달하는 방식의 시
③ 교훈시(敎訓詩) - 독자에게 무엇을 가르치고 설득하려는 시
④ 극시(劇詩) - 인물 사이의 대화 형식으로 된 시

2) 통시적(通時的) 분류

(1) 문예 사조(文藝思潮)에 따른 분류
① 낭만주의 시 - 인간의 자유로운 상상과 정서를 중시하는 시
② 상징주의 시 - 감각을 통해 신비의 세계를 더듬고 영상과 언어의 음악으로 시적인 암시를 표현하는 시
③ 주지주의 시 - 감정의 표현과 전달을 지성으로 통제하려는 시
④ 초현실주의적 시 - 전위적인 시로 합리적 통제로부터 인간을 해방하고 무의식의 세계를 표현한 시

(2) 구체적인 시대를 고려한 분류
① 고대 가요 - 고대의 부족 국가 시대에서부터 향가 성립 이전까지의 기간에 불렸던 시가
② 향가 - 신라 시대부터 고려 초기까지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서 표기한, 즉 향찰식(鄕札式) 문자로 제작된 시가. 4,8,10구체로 구분
③ 경기체가 - 고려 중기부터 조선 초기까지 귀족층에 불리어지던 장가(長歌). 주로 양반 귀족들의 퇴폐적, 향락적 생활을 읊은 것으로 한문을 많이 씀.
④ 고려 속요 - 고려 시대 구전되던 평민의 노래. 평민들의 성정(性情)이 진솔하게 드러났으며, 3음보.
⑤ 고려 중기에 발생하여 말기에 형태가 완성되었으며 조선에 이르러 꽃을 피운 일종의 정형시. 3장 6구 45자 내외의 정형시로 4음보의 안정된 율격을 보인다.
⑥ 신체시 - 신문학 운동의 초창기에 나타난 새로운 형식의 시. 창가(唱歌)와 자유시 사이에 나타난 과도기적 형태로 현대시의 출발이 되었다.
⑦ 자유시 - 전통적인 운율이나 시형(詩形)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로운 형식으로 지은 시. 오늘날 시의 주류를 이룸.

5.시의 운율(韻律)

(1) 뜻 : 시에서 느껴지는 말의 가락 ⇒ 운문(운율이 있는 글) ⇔ 산문
※ 詩의 운율은 시의 뜻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시의 운율은 시의 의미와 어우러져 시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2) 운율을 형성하는 요소
① 동음 반복 - 특정 음운이 반복하여 나타나는 것. 어두(語頭) 반복, 모음 반복, 자음 반복 등.
예) 갈래 갈래 갈린 길 / 길이라도 ('ㄱ'의 반복)
② 음수(音數) 반복 - 일정한 수의 음절이 반복되는 것. 7·5조, 3·4조, 4·4조 등.
예) 산 너머 남촌에는 / 누가 살길래// 해마다 봄바람이 / 남으로 오네//(7·5조)
③ 음보(音步)의 반복 - 한정된 수의 음절들이 모여 이루어진 음보의 규칙적 반복.
예) 아리랑/아리랑/아라리요//아리랑/고개로/넘어간다.//(3음보)
④ 의성어, 의태어의 사용 - 감각적 반응을 유발한다.
예) 삐이 뱃종 뱃종!/하는 놈도 있고(의성어의 사용)
⑤ 통사적 구조 : 물새알은 /물새알이라서 /날개 죽지가 하얀 /물새가 된다. 주로 대구법

6. 운율의 갈래
⑴ 외형률 : 시의 운율이 겉으로 드러나는 것. 음위율(두운, 요운, 각운), 음성률, 음수율, 음보율
① 음수율(音數律)-음절의 수가 단위로 되어 그것이 규칙적으로 반복될 때 이루어지는 율격이다. 우리 시의 음수율은 3음절·4음절이 기본 단위가 된 3·4조,4·4조가 많다.
② 음보율(音步律)-한정된 수의 음절들이 모여 이루어진 음보의 규칙적 반복으로 이루어지는 율격이다. 음보는 휴지(休止,쉬는 것) 및 의미상의 문단으로 구분된다.
③ 음위율(音位律)-일정한 위치에 비슷한 음을 반복함으로써 얻어지는 율격.압운법(押韻法)에 해당된다. 두운, 각운, 요운
④ 음성율(音聲律)-음의 강약, 고저, 장단 등이 단위를 이루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것이다. 한사(漢詩), 영시(英詩)에 주로 쓰인다.
⑵ 내재율 : 시의 운율이 겉으로 나타나지 않고 은근히 느껴지는 것

7. 심상(心象), 이미지
시를 읽을 때 마음 속에 떠오르는 상(象), 또는 느낌. 심상은 감각기관을 통하여 형성된다.
① 시각적 이미지
② 미각적 이미지
③ 청각적 이미지
④ 후각적 이미지
⑤ 촉각적 이미지
⑥ 공감각적 이미지 - 둘 이상의 심상(이미지)이 같이 나타날 때.
예) 푸른 종소리가 울려 퍼진다.
※ '푸른'은 시각적 이미지, '종소리'는 청각적 이미지. 청각적 이미지를 시각화하고 있다. 이를 '청각의 시각화'라 한다.
☞ 지배적 심상
- 시에 나타난 여러 가지 심상 중에서 독자의 마음 속에 가장 강렬한 인상이나 정서를 일으켜 내는 심상을 말한다.

<유형 학습>
*심상에 대하여
심상(心象-이미지)이란 시를 읽을 때 마음 속에 떠오르거나 느껴지는 감각적 체험의 표상을 말한다. 심상은 대상을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제시해 줄 뿐만 아니라, 화자의 정서나 의식 세계를 환기시켜 준다는 저에서 시의 의미와도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① 이미지의 관계 파악 - 이미지는 대상에 대한 구체적인 감각을 떠올려 주는 것 외에도 화자의 정서나 의식 세계까지도 환기시켜 주기 때문에, 화자의 정서나 작품의 분위기, 의미 등을 기준으로 유사한 이미지나 대립적인 이미지끼리 묶거나 나눌 수 있다. 특히 이미지의 대립이나 이미지의 나열 등의 방법은 시상 전개와도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② 이미지의 연결 - 이미지의 연결은 작품 속의 중요한 이미지들이 주제 형상화나 시상 전개를 위해서 조직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작품을 감상할 때에는 가장 긴밀히 연결되는 이미지가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 (이미지 연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작품 속에서 대립되는 이미지가 존재하는가를 살피고, 대립적인 이미지가 없을 때에는 이미지의 발전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③ 이미지의 표현과 종류 - 이미지는 묘사와 비유, 상징에 의해서 표현된다. 또 그 종류로는 시각적 이미지, 청각적 이미지, 후각적 이미지, 미각적 이미지, 촉각적 이미지, 공감각적 이미지(감각의 전이) 등이 있다. 특히 감각의 전이에 이한 공감각적 이미지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④ 지배적 심상의 파악 - 지배적 심상이란 작품 속의 많은 이미지 중에서 주제를 드러내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미지를 말한다. 따라서, 지배적 이미지는 작품의 주제를 함축하고 있거나, 시적 자아의 정서를 내포하고 있는 구체적인 제재일 가능성이 높다.

8. 시의 화자(話者)- 서정적 자아, 시적 자아 시 속에서 말하는 사람. (시인은 시 속에서 화자에게 일정한 성격을 부여하여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나타낸다.)
☞ 시적 자아는 작가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작품 속에서 말하고 있는 사람을 말한다.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 이 시에서 시적 화자는 김소월이 아니라,
'도시에 사는 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빛 소년'이다.- '엄마'를 통하여 '어린 아이'임을 알 수 있고, 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 '누나'를 통하여 '남자'임을, '강변살자(자연에서 살자)'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서 '도시에 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 화자(話者)의 기능
① 시인으로 하여금 자아의 세계를 확대할 수 있게 해 주는 장치이다.
② 시의 통일성을 살려 주는 기둥으로서, 일관성 있는 표현이 되게 한다.
③ 시의 배경을 묘사해 주며, 작중 인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유형 학습>

*정서에 대하여
시는 개인의 체험과 생각, 느낌을 표현하는 방식에 있어서 주체의 정서적 측면을 강조하고 그것을 통해 인생과 자연에 대한 해석을 보여 준다. 정서란 어떤 사물이나 상황에 부딪쳐 일어나는 모든 감정과 상념 또는 그러한 감정을 불러 일으키는 기분이나 분위기를 의미한다. 즉 정서란 시어에 의해서 환기되는 심리 및 정서적 감동으로 시의 본질적 특성이라 할 수 있다.

① 문학의 미적 정서 - 문학에서 다루는 정서는 미적 정서이다. 미적 정서는 강렬한 충동을 절제하고 걸러 냄으로써 질서 잡힌 미적인 구조를 통해 생겨나는 정서를 뜻한다. 그러나 미적 정서라고 해서 '아름다움'만을 뜻하지는 않는다.
희(喜), 노(怒), 애(愛), 락(樂), 애(哀), 오(惡), 욕(欲)이라는 감정을 아우르는 폭넓은 것이다. 그 밖에 안타까움, 안도감, 그리움, 아쉬움, 기다림, 예찬, 기원, 숭고, 비장, 우아 등으로 나타난다. 또한 사상과 관념까지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정서를 통해 표현된다.
② 시적 자아의 정서 - 정서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적인 요인은 바로 시의 화자의 목소리이다. 시적 자아의 정서를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시대적 상황, 시적 상황, 또는 시의 주제, 시인의 가치관 등이 고려될 수 있다.
③ 정서의 파악 - 정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서를 단순히 이해하는 것보다는 정서를 체험하고 자신의 것으로 내면화하는 일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관조적 자세로 사심 없이 작품에 몰입하는 과정과 자세가 필요하다. 더 나아가 상상력을 통해 정서를 인식하고 현실과 대응시켜 보고 삶의 비젼을 형성하는 문학적 체험이 이루어져야 한다. 작품 속에 나타난 시적 자아의 언어나 행동 그리고 그의 생각을 주제와 관련지어 총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작품의 정서를 추리할 수 있다.

9. 시의 어조

시적 자아에 의해 나타나는 목소리의 특징으로, 시인이 독자를 대함에 있어서 취하는 태도.
(1) 화자가 자기 자신에게 말하는 목소리
① 혼자 독백하듯이 말한다.
② 시인의 내면 세계와 직접 관련되어, 사색적이고 명상적인 성격을 지닌다.

(2) 화자가 다른 사람에게 말하는 목소리
① 독자에게 제시하듯이 말한다.
② 시인과는 별도로 설정된 화자에 의해 말하며, 흔히 애원이나 간청, 설교 등의 성격을 지닌다.

(3) 어조의 종류
① 남성적 어조 - 의지적이고 힘찬 기백을 담은 내용 전달에 적합함. 예)이육사의 시
② 여성적 어조 - 간절한 기원, 한(恨), 애상(哀想) 등의 내용 전달에 적합함.
③ 풍자, 해학, 냉소의 어조 - 사회 비판의 내용 전달에 적합함.
예) 조선 후기의 사설시조, 민중시 등

<유형 학습>

*태도에 대하여
-서정적 자아의 태도란 시 속에 나타난 시적 대상, 현실 세계 또는 독자에 대한 서정적 자아의 자세를 말한다. 시적 대상은 시 속의 화자가 바라보는 구체적 사물이거나 말을 건네는 청자를 의미하기도 하고, 시 전체의 소재나 제재가 되는 사물 및 관념 자체를 뜻하기도 한다. 그리고 보다 넓은 의미에서는 다양한 삶의 모습과 특정한 현실에 처한 화자의 심리적 상황까지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① 시적 대상과 상황 - 시적 대상에 대하여 서정적 자아가 가지는 태도가 어떠하냐에 따라 그 시가 주는 사상과 감정의 깊이나 내용은 달라진다. 같은 대상에 대하여 서정적 자아의 태도는 부정적이거나 긍정적, 또는 직설적이거나 풍자적, 격정적이거나 통제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이러한 태도에 따라 시적 체험의 내용은 변형된다. 서정적 자아가 처해 있는 시적 상황이란 시적 자아가 처해 있는 시간적, 공간적, 심리적 상황을 말함. 그런데 그것은 서정적 주체가 대상을 바라보는 관점, 시각, 입장, 태도를 반영한다.
② 태도의 파악 - 사회, 역사적 측면이 시적 대상이 될 때에는 '서정적 자아의 현실 인식과 대응 방식'을 파악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 속에서 서정적 자아의 현실 인식은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으로 나타나며, 대응 방식은 소극적이거나 적극적 또는 체념적이거나 희망적으로 표출된다. 이러한 이분법적인 사고를 가지고 시에 접근하여 분석한다면 서정적 자아의 태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서정적 자아의 태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서정적 자아가 처해 있는 상황과 그러한 상황에 대해 서정적 자아가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를, 또는 서정적 자아가 어떤 상황에서
무엇을 어떻게 추구하려고 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다.



10. 시의 표현

(1) 비유 : 표현하려는 사물의 현상, 상태, 마음의 움직임 등을 다른 사물에 빗대어
구체적인 연상을 일으키게 하는 표현 기법. 직유, 은유, 의인법 등이 있음.

(2) 상징 : 어느 감각적 대상이 다른 대상을 표시하거나,
본래의 고유한 의미에서 다른 의미를 제시할 때 쓰는 표현 기법임.
상징은 원관념 파악이 원칙적으로 불가능함.
① 관습적 상징 - 한 사회에서 오랫동안 쓰인 결과 굳어져서 널리 인정받고 있는 상징
예) 비둘기 - 평화, 백합 - 순결
② 창조적(개인적, 개성적) 상징 - 개인에 의해 독창적으로 만들어져서 참신한 문학적 효과를 발휘하는 상징

(3) 반어(아이러니) - 표현된 것과 속뜻(의도)이 상반되는 말하기의 방식
예) 나보기가/역겨워/가실 때에는/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속으로 몹시 슬퍼하면서도 고이 보내 드리겠다는 상반된 표현)

(4) 역설(패러독스) - 모순된 표현 속에 어떤 진실을 품는 말하기의 방식.
대립되는 시어를 맞세운 표현이 주로 출제됨.
예) 소리없는 아우성, 찬란한 슬픔의 봄,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 하였습니다.


<유형 학습>

*표현에 대하여
시는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이 언어의 음악적인 요소와 이미지와 같은 회화적인 요소
그리고 의미적 요소에 의해 표현된 것이다.
① 표현 기법 - 시에서 흔히 사용되는 표현 기법은 비유와 상징이다.
비유는 표현하려는 원관념을 다른 사물에 빗대어 표현함으로써 보다
생생하고 구체적인 연상을 일으키도록 하는 표현 기법이며,
상징은 보조 관념만으로 여러 가지 뜻의 원관념을 암시적으로 드러내는 표현 기법이다.
이 외에도 반어와 역설 등이 중요한 시의 표현 기법으로 자주 쓰이고 있다.
② 시적 발상 - 주제를 형상화하기 위해 사상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을 말한다.
시는 자아와 세계의 동일성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해 주로 자연물에 자신의 감정을 이입하거나,
대상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③ 시상 전개 - 주제를 형상화하기 위해 떠올린 생각들을 전개하고 조직하는 방식을 말한다.
주로 공간의 이동, 시간의 흐름, 시선의 이동, 제재의 나열, 이미지의 대조와 병치,
과거와 현재 혹은 미래의 대조 병치, 어조 정서의 변화 등의 방법이 많다.
④ 표현상의 특징
- 시의 표현과 관계되는 모든 내용들을 포괄하여 그 시에서 종합적으로 나타나는 형태적 특징을 말한다.
어떤 작품이든지 주제 형상화를 위해 그 작품만의 독특한 표현상의 특징을 지니게 되는데,
주로 특징적인 시어, 어조, 운율, 시행 배열, 이미지, 구조 등과 관련이 깊다.



11. 시의 주제

: 시인이 시를 통해서 나타내려고 하는 중심 생각이나 사상으로, 작품 속에 암시적으로 표현된다.
경우에 따라 사상, 정서, 의지 등으로 나타난다.

(1) 주제의 형상화 - 형상화란 내부의 관념 또는 감각을 통해 느끼거나 생각한 것 등을
어떤 수단에 의해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일이다.
흔히 비유, 상징, 이미지 등 암시적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2) 시의 주제와 시대 정신 - 시의 주제는 시인의 사상, 정서, 의지 등을 나타내는데,
그것은 그가 살던 시대의 정신과 사회의 모습을 비춰 주는 것이기도 하다.



12. 시를 감상하는 방법

1) 시의 작자와 갈래에 대해 안다.
2) 시어의 함축적 의미, 비유적 의미를 파악한다.
3) 시의 운율 파악
4) 시의 흐름, 시상 전개, 시의 심상, 서정적 자아의 태도 등을 이해한다.
5) 시의 소재와 주제를 파악한다.


<유형 학습>

*감상에 대하여
작품의 감상은 단순히 작품의 내용에 대해 공감하는 정도의 소극적인 행위가 아니다.
작품의 전체적인 인상과 느낌을 통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미의 세계를 재창조하는 데까지 나아가야 한다.
문학 작품은 그것을 읽는 사람의 관점이나 방법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으며,
작품의 세계와 수용자의 삶이 서로 조응될 때 올바른 이해와 감상이 이루어진다.
① 표현론적 관점 - 작품과 작가의 관계를 작품 이해의 중심 문제로 보는 관점으로 역사,
전기적 비평 방법과 가깝다. 작가의 성장 배경, 독특한 심리 구조, 작가의 세계관이나 신념,
작가가 크게 영향을 받은 사상이나 작품 등은 작품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② 효용론적 관점 - 작품과 독자의 관계를 작품 이해의 중심 문제로 보는 관점이다.
문학 작품의 목적이 독자에게 교훈이나 감동을 주는 데 있는 것으로 보며,
작품을 읽을 때 독자에게 어떤 효용을 미치고 있는가를 따져 보는 시각이다.
③ 반영론적 관점 - 작품과 세계의 관점을 작품 이해의 중심 문제로 보는 관점이다.
작품은 당대의 구체적 현실의 반영이고, 작품의 이해는
구체적 삶의 현실이나 사회, 역사, 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로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본다.
④ 절대론적 관점 - 문학 작품을 오직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
작품 이해의 모든 정보를 작품 내부에서만 찾으려는 관점이다.
오직 작품 자체의 분석만을 문제로 삼는 '작품 내적 접근 방법'으로 형식주의 비평에 가깝다.

☞ 내재적 의미만을 주목하는 감상 방법은 절대론적 관점으로, 주어져 있는 작품의 내용과 형식
그 자체를 감상의 대상으로 삼는 것을 말한다.
외재적 의미에 주목하는 감상 방법은 작품을 감상하는 데 외부의 요인을 끌어들이는 것을 말한다.
즉 작품을 감상하는 데 작가, 독자, 현실, 효용성, 교훈성, 윤리성, 사회성, 역사성 등을 통하여
비판하거나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출처:

http://blog.naver.com/kluung/100003891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