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관련

역대 왕 계보

시치 2021. 10. 12. 15:46

고구려 왕 계보

B.C.37 ~A.D.668

1대 동명성왕B.C. 37 - B.C. 19고구려의 시조

2대 유리왕B.C. 19 - A.D. 181대 동명성왕의 맏아들. 유리왕 22, 수도를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옮김.

3대 대무신왕18-442대 유리왕의 셋째 아들. <광개토대왕릉비문>'나라의 기틀을 다진 왕'으로 기록되어 있음.

4대 민중왕44-483대 대무신왕의 동생(삼국사기 기록)

5대 모본왕48-533대 대무신왕의 맏아들. 성품이 포악하고 정사를 돌보지 않음. 신하 두로에게 피살됨.

6대 태조왕53-1462대 유리왕의 손자. 옥저 정복. 중앙 집권 체제를 정비하여 고대 국가를 완성함(왕위세습확립).

7대 차대왕146-1656대 태조왕의 동생. 왕의 횡포가 심해 백성들의 원성을 들었음. 차대왕 20년에 명림답부에게 살해됨.

8대 신대왕165-1796대 태조왕의 막내동생. 77세에 즉위함.

9대 고국천왕179-1978대 신대왕의 둘째 아들. 왕위의 부자 상속을 확립함. 을파소를 등용함. 진대법을 실시하여 빈민구휼책을 마련함으로써 왕권을 강화해나감.

10대 산상왕197-2279대 고국천왕의 동생. 도읍을 환도성으로 옮김

11대 동천왕227-24810대 산상왕의 아들. 위나라와의 전쟁으로 환도성이 함락되었으나, 위기를 극복함.

12대 중천왕248-27011대 동천왕의 맏아들

13대 서천왕270-29212대 중천왕의 둘째 아들. 286년 반란을 도모한 동생 일우와 소발을 처단함.

14대 봉상왕292-30013대 서천왕의 아들. 동생 돌고(미천왕의 아버지)를 죽임. 계속된 흉년에도 화려한 궁실을 지으려 함. 결국 국상 창조리에 의해 폐위됨.

15대 미천왕300-33113대 서천왕의 손자. 봉상왕을 피해 숨어서 소금장수를 하다가 국상 창조리에 의해 왕으로 옹립. 낙랑군 멸망시킴. 대동강 유역을 확보함.

16대 고국원왕331-37115대 미천왕의 아들. 백제 근초고왕 군과 평양성에서 싸우다가 전사함.

17대 소수림왕371-38416대 고국원왕의 맏아들. 율령 반포, 불교 수용, 태학 설립 등을 통해 국가 체제를 정비함. 삼국 중 가장 먼저 중앙 집권 체계를 갖춤.

18대 고국양왕384-39117대 소수림왕의 동생. 재위기간은 광개토대왕릉비에 근거함.

19대 광개토대왕391-41218대 고국양왕의 아들. 백제 공격으로 한강 이북 지역을 차지하고, 신라에 침입한 왜를 격퇴함(신라에 대한 영향력 강화). 재위기간은 광개토대왕릉비에 근거함.

20대 장수왕412-49119대 광개토대왕의 맏아들. 평양으로 천도하고, 적극적인 남진정책을 추진함. 남한강 유역까지 진출 후 충주고구려비를 세움. 재위기간은 광개토대왕릉비에 근거함.

21대 문자왕492-51920대 장수왕의 손자.

22대 안장왕519-53121대 문자왕의 맏아들

23대 안원왕531-54522대 안장왕의 동생. 왕의 후사를 둘러싼 귀족세력들의 무력충돌 속에서 세상을 떠남.

24대 양원왕545-55923대 안원왕의 맏아들. 신라·백제에게 한강 유역을 잃음.

25대 평원왕559-59024대 양원왕의 맏아들. 586년 평양 대성산성에서 장안성으로 궁을 옮김.

26대 영양왕590-61825대 평원왕의 맏아들. 을지문덕을 시켜 살수에서 수나라군을 섬멸함.

27대 영류왕618-64226대 영양왕의 이복동생. 천리장성을 쌓기 시작하면서 연개소문에게 감독을 맡김. 연개소문에 의해 비참하게 죽음.

28대 보장왕642-668고구려 마지막 왕. 연개소문의 추대로 왕위에 오름. 나당연합군의 침공으로 평양성이 함락되고 결국 고구려는 멸망함.

[네이버 지식백과]고구려 왕 계보- B.C.37 ~ A.D.668 (역대 왕 계보)

 

 

백제 왕 계보

B.C.18 ~A.D.660, 삼국사기 기준

1대 온조왕B.C. 18-A.D. 28고구려의 셋째 왕자인 온조, 백제를 세우다

2대 다루왕28-771대 온조왕의 맏아들

3대 기루왕77-1282대 다루왕의 맏아들

4대 개루왕128-1663대 기루왕의 맏아들

5대 초고왕166-2144대 개루왕의 맏아들

6대 구수왕214-2345대 초고왕의 맏아들

7대 사반왕234-2346대 구수왕의 맏아들. 나이가 어려 정사를 감당하지 못하여 곧 폐위됨.

8대 고이왕234-2864대 개루왕의 둘째 아들(삼국사기 기록). 삼국 중 가장 먼저 한강 유역을 차지함. 율령 반포, 관리 등급 마련(6좌평) 등 중앙 집권 체제를 정비하여 고대 국가의 기틀을 마련함.

9대 책계왕286-2988대 고이왕의 맏아들

10대 분서왕298-3049대 책계왕의 맏아들. 분서왕 7년에 낙랑의 태수가 보낸 자객에게 살해됨.

11대 비류왕304-3446대 구수왕의 둘째 아들(삼국사기 기록)

12대 계왕344-34610대 분서왕의 맏아들. 고이왕계의 마지막 백제왕.

13대 근초고왕346-37511대 비류왕의 둘째 아들. 백제의 전성기를 이룩한 왕. 왕위의 부자 상속을 확립함. 고구려 고국원왕을 전사 시킴. 가야/왜와는 교류하는 반면 고구려/신라는 견제함.

14대 근구수왕375-38413대 근초고왕의 맏아들

15대 침류왕384-38514대 근구수왕의 맏아들. 불교를 수용하여 백성의 사상을 통합하고 왕권을 강화함.

16대 진사왕385-39214대 근구수왕의 둘째 아들. 392년 광개토대왕이 이끄는 고구려군에 패하여 많은 영토를 잃음.

17대 아신왕392-40515대 침류왕의 맏아들. 396, 광개토대왕이 이끄는 고구려군에 크게 패함.

18대 전지왕405-42017대 아신왕의 맏아들. 상좌평(백제의 최고 관직)을 처음 설치함.

19대 구이신왕420-42718대 전지왕의 맏아들. 고구려를 견제하기 위해 중국 송나라와 외교관계를 맺음.

20대 비유왕427-45519대 구이신왕의 맏아들(18대 전지왕의 서자라는 설도 있음). 고구려를 견제하기 위해 신라, , 중국 송나라 등과 우호관계를 형성함.

21대 개로왕455-47520대 비유왕의 맏아들. 475년 고구려 장수왕에게 한강유역 일대를 빼앗기고 목숨을 잃음.

22대 문주왕475-47721대 개로왕의 맏아들. 웅진으로 도읍을 옮김. 병관좌평 해구에 의해 목숨을 잃음.

23대 삼근왕477-47922대 문주왕의 맏아들. 13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 15세에 죽음.

24대 동성왕479-50122대 문주왕의 동생인 곤지의 아들. 신라 왕실과 혼인 관계를 맺어 고구려 남진정책에 대항함. 신진 세력 등용.

25대 무령왕501-52324대 동성왕의 둘째 아들. 고구려에 적극적으로 맞서며 백제를 안정시키기 위해 애쓴 왕. 지방에 22담로를 설치하고 왕족을 파견하는 등 중앙집권체제를 강화함.

26대 성왕523-55425대 무령왕의 아들. 사비성(지금의 부여)으로 도읍을 옮기고 백제 부흥을 이끈 왕. 554년 신라 진흥왕과의 격전에서 전사함. 이로써 나제동맹관계는 결렬됨.

27대 위덕왕554-59826대 성왕의 맏아들

28대 혜왕598-59926대 성왕의 둘째 아들. 즉위하고 이듬해에 죽음.

29대 법왕599-60028대 혜왕의 맏아들(삼국사기 기록). 즉위하고 이듬해에 죽음.

30대 무왕600-64129대 법왕의 아들. [삼국유사]에 무왕과 관련된 서동설화가 전해짐.

31대 의자왕641-66030대 무왕의 맏아들. 백제의 마지막 왕. 의자왕 초기에는 대야성전투 등 신라에 적극적 공세를 취함. 그러나 660년 나당연합군의 공격으로 백제가 멸망함.

[네이버 지식백과]백제 왕 계보- B.C.18 ~ A.D.660, 삼국사기 기준 (역대 왕 계보)

 

 

발해 왕 계보

698~926

1대 고왕698-719발해를 건국한 대조영

2대 무왕719-7371대 고왕 대조영의 아들. 중국 당나라와 대립함.

3대 문왕737-7932대 무왕의 아들. 당과 친선관계를 맺고 당의 문물을 받아들임.

4대 대원의793-793즉위한지 1년도 채 되지 않아 죽임을 당함.

5대 성왕793-7943대 문왕의 손자

6대 강왕794-8093대 문왕의 막내아들

7대 정왕809-8126대 강왕의 아들

8대 희왕812-8176대 강왕의 아들이자 정왕의 동생

9대 간왕817-8186대 강왕의 아들이자 정왕/희왕의 동생

10대 선왕818-8301대 고왕의 동생인 대야발의 4대손. 발해를 중흥시킨 군주로 해동성국이라는 칭호를 얻음.

11대 대이진830-85710대 선왕의 손자

12대 대건황857-87111대 대이진의 동생

13대 대현석871-89412대 대건황의 아들

14대 대위해894-906

15대 대인선906-926발해의 마지막

[네이버 지식백과]발해 왕 계보- 698~926 (역대 왕 계보)

 

 

 

신라 왕 계보

B.C.57 ~A.D.935, 삼국사기 기준

1대 혁거세 거서간B.C. 57 - A.D. 4신라 최초의 왕, 박씨의 시조

2대 남해차차웅4 - 241대 혁거세의 맏아들(박씨)

3대 유리이사금24 - 572대 남해차차웅의 아들(박씨). 석탈해에게 왕위를 양보하려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짐.

4대 탈해이사금57 - 802대 남해차차웅의 사위(석씨). 왜국의 다파나국 출신으로 석씨의 시조.

5대 파사이사금80 - 1123대 유리이사금의 둘째 아들(박씨)

6대 지마이사금112 - 1345대 파사이사금의 아들(박씨)

7대 일성이사금134 - 1543대 유리이사금의 맏아들(박씨) 혹은 일지갈문왕의 아들이라고도 함.(삼국사기 기록)

8대 아달라이사금154 - 1847대 일성이사금의 맏아들(박씨). 왕비는 지마왕의 딸.

9대 벌휴이사금184 - 1964대 탈해이사금의 손자(석씨)

10대 내해이사금196 - 2309대 벌휴이사금의 손자(석씨)

11대 조분이사금230 - 2479대 벌휴이사금의 손자이자 내해왕의 사촌(석씨). 왕비는 내해왕의 딸.

12대 첨해이사금247 - 2619대 벌휴이사금의 손자이자 조분왕의 친동생(석씨)

13대 미추이사금262 - 284김알지의 7대손(김씨). 왕비는 석씨 광명부인으로 조분왕의 딸.

14대 유례이사금284 - 29811대 조분이사금의 맏아들(석씨)

15대 기림이사금298 - 31011대 조분이사금의 아들·손자·증손이라는 여러 설이 있음.

16대 흘해이사금310 - 35610대 내해이사금의 손자이자 제11대 조분이사금의 외손자.

17대 내물마립간356 - 402김씨에 의한 왕위독점세습 이룸. 왕권 강화되어 대군장 뜻하는 마립간왕호를 사용함(왕호는 삼국유사 기록에 따름). 낙동강 유역까지 영토를 확장함. 고구려 광개토대왕 도움으로 왜군 격퇴함.

18대 실성마립간402 - 417김알지의 후손(김씨). 왕비는 제13대 미추이사금의 딸. 내물마립간의 태자인 눌지를 제거하려다 오히려 죽임을 당함. 왕호는 삼국유사 기록에 따름.

19대 눌지마립간417 - 45817대 내물마립간의 아들(김씨). 맏아들이 왕위를 계승하는 장자상속제를 확립함. 433년 백제와 연합하여 고구려를 견제함(나제동맹).

20대 자비마립간458 - 47919대 눌지마립간의 맏아들(김씨). 왜와 고구려의 잦은 침략에 시달림.

21대 소지마립간479 - 50020대 자비마립간의 아들(김씨). 백제·가야와의 동맹을 공고히 하고 민생을 중시하는 정치를 펼침.

22대 지증왕500 - 51417대 내물마립간의 증손. 503년 나라이름을 '신라', 왕호를 ''으로 바꾸며 왕권을 강화함. 순장법을 폐지하고 울릉도 우산국을 정복함.

23대 법흥왕514 - 54022대 지증왕의 맏아들. 율령 반포, 불교 공인(백성의 사상 통합), 골품제 정비, 상대등 설치 등을 통해 중앙집권적 고대 국가 체제를 완성함. 금관가야 병합.

24대 진흥왕540 - 576화랑도를 국가조직으로 공인하고, 황룡사 건립하여 신라의 국력 과시. 한강 유역 모두 장악, 대가야 병합, 함흥평야 진출 등 신라 최대의 영토를 개척함(진흥왕 순수비).

25대 진지왕576 - 57924대 진흥왕의 둘째 아들. 거칠부를 상대등에 임명해 국정을 맡김. 방탕한 생활을 하다가 재위 4년만에 폐위됨.

26대 진평왕579 - 63224대 진흥왕의 손자. 행정조직을 정비해 왕권을 강화하고 적극적인 외교정책을 실시함.

27대 선덕여왕632 - 64726대 진평왕의 맏딸이자 신라 최초의 여왕.

28대 진덕여왕647 - 654성골 출신의 마지막 왕. 당나라와의 외교관계를 더욱 강화함.

29대 태종무열왕654 - 661신라 최초의 진골 출신 왕(폐위된 진지왕의 손자). 당나라와 연합하여 백제를 멸망시켜 삼국 통일의 기반을 다짐.

30대 문무왕661 - 68129대 무열왕의 맏아들. 삼국 통일을 이루어 낸 왕.

31대 신문왕681 - 69230대 문무왕의 맏아들. 전제왕권이 확고하게 자리잡힌 시기.

32대 효소왕692 - 70231대 신문왕의 맏아들. 6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

33대 성덕왕702 - 73731대 신문왕의 둘째 아들. 신라 역사상 가장 태평성대한 시기로 평가됨. 당나라와 우호적 관계를 유지함.

34대 효성왕737 - 74233대 성덕왕의 둘째 아들. 왕실의 전제왕권이 점차 약화됨.

35대 경덕왕742 - 76533대 성덕왕의 셋째 아들. 전제왕권 재강화를 위해 노력함.

36대 혜공왕765 - 78035대 경덕왕의 아들(태종무열왕의 마지막 직계손). 8세에 즉위, 왕권이 약해지고 정치적 반란사건이 많았음.

37대 선덕왕780 - 78517대 내물왕의 10대손. 신라 하대(下代)의 첫 번째 왕.

38대 원성왕785 - 79817대 내물왕의 12대손. 788, 독서 삼품과를 실시함.

39대 소성왕799 - 80038대 원성왕의 손자

40대 애장왕800 - 80939대 소성왕의 맏아들. 13세에 즉위함. 숙부들이 일으킨 반란에 의해 시해됨.

41대 헌덕왕809 - 82638대 원성왕의 손자이자 소성왕의 친동생.

42대 흥덕왕826 - 83638대 원성왕의 손자이자 소성왕/헌덕왕의 친동생.

43대 희강왕836 - 83838대 원성왕의 증손자, 조부는 원성왕의 셋째아들인 김예영.

44대 민애왕838 - 83938대 원성왕의 증손자, 조부는 원성왕의 맏아들인 혜충태자 김인겸.

45대 신무왕839 - 83938대 원성왕의 증손자, 조부는 원성왕의 셋째아들인 김예영이며, 43대 희강왕의 사촌임. (관련인물 : 장보고)

46대 문성왕839 - 85745대 신무왕의 맏아들

47대 헌안왕857 - 86145대 신무왕의 이복동생

48대 경문왕861 - 87543대 희강왕의 손자이자 제47대 헌안왕의 사위

49대 헌강왕875 - 88648대 경문왕의 맏아들

50대 정강왕886 - 88748대 경문왕의 둘째 아들

51대 진성여왕887 - 89748대 경문왕의 딸로 신라시대 마지막 여왕

52대 효공왕897 - 91249대 헌강왕의 서자. 후백제와 후고구려의 공격에 시달림.

53대 신덕왕912 - 9178대 아달라왕의 먼 후손(박씨). 916년 견훤에게 대야성을 공격당함.

54대 경명왕917 - 92453대 신덕왕의 아들(박씨). 신라 국력이 크게 쇠퇴하여 경주를 중심으로 한 주변지역만 다스리게 됨.

55대 경애왕924 - 92754대 경명왕의 동생(박씨). 927년 포석정에서 제사를 지내다 견훤의 습격을 받고 스스로 목숨을 끊음.

56대 경순왕927 - 935신라의 마지막 왕(김씨), 견훤에 의해 왕위에 오름. 경순왕 9년에 자진하여 고려 태조에게 항복함.

[네이버 지식백과]신라 왕 계보- B.C.57 ~ A.D.935, 삼국사기 기준 (역대 왕 계보)

 

 

 

 

고려 왕 계보

918~1392

  • 1대 태조918-943왕건, 고려의 시조. 북진정책, 혼인관계를 통해 호족세력을 포섭함(왕권 안정).
  • 2대 혜종943-9451대 태조 왕건의 맏아들. 이복동생들과 왕위 다툼에 시달림.
  • 3대 정종945-9491대 태조 왕건의 아들이자 혜종의 이복동생. 서경(평양)으로 수도를 옮기려고 했으나 실패함. 재위기간은 4년.
  • 4대 광종949-9751대 태조 왕건의 아들이자 정종의 동생. 왕권 강화를 위해 노비 안검법을 제정하고, 과거 제도를 실시함.
  • 5대 경종975-9814대 광종의 맏아들. 976년 전시과 제정, 6년간 재위함.
  • 6대 성종981-9971대 태조 왕건의 손자. 유교를 정치이념으로 채택(최승로의 시무28조 수용), 중앙집권적 국가운영체계의 기틀을 세운 왕.
  • 7대 목종997-10095대 경종의 맏아들. 전시과를 개정하고 학문을 장려함.
  • 8대 현종1009-10311대 태조 왕건의 손자. 거란군의 침략을 불력(佛力)으로 물리치기 위해 대장경(6천여권)을 제작함. 관련사건: 강감찬의 귀주대첩.
  • 9대 덕종1031-10348대 현종의 맏아들. 국자감시를 실시함. 현종 때 시작한 국사편찬사업을 완성함.
  • 10대 정종1034-10468대 현종의 둘째 아들. 1044년 천리장성을 완성함. 노비종모법과 장자상속법을 제정함.
  • 11대 문종1046-10838대 현종의 셋째 아들. 고려시대 중 가장 찬란한 문화황금기를 이룩한 왕.
  • 12대 순종1083-108311대 문종의 맏아들. 재위 3개월만에 죽음.
  • 13대 선종1083-109411대 문종의 둘째 아들. 송나라의 제도를 받아들임.
  • 14대 헌종1094-109513대 선종의 맏아들. 즉위 1년만에 왕위를 숙부(숙종)에게 물려줌.
  • 15대 숙종1095-110511대 문종의 셋째 아들. 주전관을 두고 주화인 은병을 만들어 통용하게 함.
  • 16대 예종1105-112215대 숙종의 맏아들. 국학에 양현고라는 장학재단 설립하는 등 학문 진흥에 힘씀.
  • 17대 인종1122-114616대 예종의 맏아들. 김부식에게 명하여 [삼국사기]를 편찬하게 함. 관련사건: 이자겸의 난, 묘청의 난
  • 18대 의종1146-117017대 인종의 맏아들. 정중부, 이의방 등이 무신정변을 일으켜 폐위됨.
  • 19대 명종1170-119717대 인종의 셋째 아들. 정권을 장악한 무신 최충헌에 의해 폐위됨.
  • 20대 신종1197-120417대 인종의 다섯째 아들. 최충헌이 실권을 잡았으며, 만적의 난 등 민란이 잇달아 일어남.
  • 21대 희종1204-121120대 신종의 맏아들. 최충헌을 죽이려다 실패하여 폐위됨.
  • 22대 강종1211-121319대 명종의 맏아들. 1197년 최충헌에게 쫓겨 강화도로 갔다가 1211년 최충헌에 의해 왕위에 오름.
  • 23대 고종1213-125922대 강종의 맏아들. 몽골의 침입으로 강화로 천도하며 28년간 항쟁함.
  • 24대 원종1259-127423대 고종의 맏아들. 친몽정책과 개경환도를 추진하다가 임연에게 폐위(1269), 4개월 만에 복위함. 개경환도(1270) 후, 이에 반기를 든 삼별초의 항쟁 일어남.
  • 25대 충렬왕1274-1298, 1298-130824대 원종의 맏아들. 고려왕이면서, 원나라의 사위로 살아간 왕.
  • 26대 충선왕1298-1298, 1308-131325대 충렬왕의 아들. 한국사 최초의 혼혈왕. 개혁을 시도하였으나, 원의 간섭과 권문세족의 반발로 성과를 거두지 못함.
  • 27대 충숙왕1313-1330, 1332-133926대 충선왕의 둘째 아들. 심양왕 고(충선왕의 조카)와의 정권다툼에 시달림.
  • 28대 충혜왕1330-1332, 1339-134427대 충숙왕의 맏아들. 방탕한 행동으로 원나라에 의해 폐위되었다가 복위됨.
  • 29대 충목왕1344-134828대 충혜왕의 아들. 8세에 즉위해 12세에 죽음. 어머니인 덕녕공주가 섭정을 함.
  • 30대 충정왕1349-135128대 충혜왕의 서자. 12세에 원나라로부터 왕으로 책봉되었으나 3년만에 폐위됨.
  • 31대 공민왕1351-137427대 충숙왕의 둘째 아들. 고려 재건을 위해 개혁과 반원정책을 단행하였으나, 권문세족 반발, 공민왕 시해로 개혁 중단됨.
  • 32대 우왕1374-1388공민왕이 시해되자 10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 이성계의 위화도회군 후 폐위되어 강화도로 추방됨.
  • 33대 창왕1388-138932대 우왕의 아들. 9세에 즉위, 이성계에 의해 폐위됨.
  • 34대 공양왕1389-139220대 신종의 7대손. 고려의 마지막 왕.
  • [네이버 지식백과] 고려 왕 계보 - 918~1392 (역대 왕 계보)

 

조선 왕 계보

1392~1910, 519

요약유교적 민본주의를 바탕으로 근세사회를 열었던 조선 왕조의 계보. 태조 이성계가 고려를 멸망시키며 건국한 조선은 1910년 순종을 마지막으로 27명의 왕이 승계하면서 519년간 존속되었다.

 

1대 태조1392-1398이성계, 조선의 제 1대왕

2대 정종1398-14001대 태조의 둘째 아들. 1차 왕자의 난으로 세자로 책립.

3대 태종1400-14181대 태조의 다섯째 아들.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사병을 없애고 관직 제도를 개혁함.

4대 세종1418-14503대 태종의 셋째 아들. 훈민정음을 창제함. 정치, 사회, 경제, 문화, 과학, 음악 등 전 분야를 발전시켜 조선의 황금시대를 연 성군.

5대 문종1450-14524대 세종의 맏아들. 성품이 온화하고 학문을 좋아한 왕.

6대 단종1452-14555대 문종의 아들. 정치적 야심에 희생된 비운의 소년 국왕.

7대 세조1455-14684대 세종의 둘째 아들(수양대군). 계유정난을 일으키고 조카인 단종의 왕위를 찬탈함.

8대 예종1468-14697대 세조의 둘째 아들. 재위 13개월 만에 죽음.

9대 성종1469-14947대 세조의 손자. 조선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을 완성함. 조선 전기의 문물제도를 완성시켰다는 평가를 받음.

10대 연산군1494-15069대 성종의 맏아들이자 폐비 윤씨의 아들. 조선 최초의 반정으로 폐위됨.

11대 중종1506-15449대 성종의 둘째 아들이자 연산군의 이복동생. 관련어: 조광조, 기묘사화

12대 인종1544-154511대 중종의 맏아들. 성품이 온화하고 효심이 깊었던 왕, 재위 8개월만에 사망함.

13대 명종1545-156711대 중종의 둘째 아들. 12세에 즉위. 관련사건: 을사사화

14대 선조1567-160811대 중종의 손자. 당쟁과 왜군의 침입에 휩싸인 왕. 사림의 중앙정계 진출이 활발해짐. 붕당 형성.

15대 광해군1608-162314대 선조의 둘째 아들. 조선 중기의 격동기에 실리외교를 택한 군주. 대동법을 실시함.

16대 인조1623-164914대 선조의 손자. 반정으로 왕위에 올라 삼전도 굴욕을 겪은 왕.

17대 효종1649-165916대 인조의 둘째 아들. 북벌을 국시로 내세웠으나, 북벌의 기회를 얻지는 못함.

18대 현종1659-167417대 효종의 아들. 남인과 서인의 당쟁(예송논쟁)이 계속되어 국력이 쇠퇴해짐.

19대 숙종1674-172018대 현종의 아들. 대동법을 전국에 실시함. 당쟁과 궁중암투가 극에 달함. 관련인물: 인현왕후, 희빈 장씨, 숙빈 최씨

20대 경종1720-172419대 숙종과 희빈 장씨의 아들. 노론과 소론 당쟁의 절정기.

21대 영조1724-177619대 숙종과 숙빈 최씨의 아들. 붕당 대립을 완화하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탕평책을 실시함. 균역법을 시행하여 백성의 군역 부담을 줄임.

22대 정조1776-180021대 영조의 손자이자 사도세자의 아들. 탕평책을 계승하고 인재를 고루 등용함. 조선 후기 문화의 황금기를 이루었다고 평가됨.

23대 순조1800-183422대 정조의 둘째 아들. 11세에 즉위. 김조순 등 안동 김씨가 세도정치를 하던 시대로 백성들의 생활이 매우 힘들었음. 1811년 홍경래의 난 발생함.

24대 헌종1834-184923대 순조의 손자. 8세에 즉위.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의 권력 투쟁에 휘말림.

25대 철종1849-186322대 정조의 동생인 은언군의 손자. 1844년 강화도에 유배되었다가 19세 나이로 즉위.

26대 고종1863-1907흥선대원군의 둘째 아들. 12세에 즉위. 조선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 제1대 황제.

27대 순종1907-191026대 고종의 둘째 아들. 조선의 마지막 국왕

[네이버 지식백과]조선 왕 계보- 1392~1910, 519(역대 왕 계보)

 

'역사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기열전  (0) 2022.07.16
新羅 三寶  (0) 2018.11.30
조선의 품계  (0) 2017.07.27
김종직-위키백과  (0) 2017.06.18
김종직의 「조의제문(弔義帝文)  (0) 2017.02.25